‘강도사ㆍ준목ㆍ수련목’ 뭐가 다를까?
상태바
‘강도사ㆍ준목ㆍ수련목’ 뭐가 다를까?
  • 공종은 기자
  • 승인 2010.04.28 13: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교회 다름과 닮음-3] ‘예비 목사’

목사. 최근 들어 사회적 지탄의 대상이 되고 있지만, 목사가 되는 과정은 멀고 험난하다. 우선 7년 동안 공부해야 하지만, 공부를 했다고 해서 모두 목사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교단에서 실시하는 시험에 합격한 후 1년에서 3년의 준비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그 과정에 있는 사람을 ‘강도사’, ‘준목’, ‘수련목’ 등으로 부른다.

목사가 되기 위해서는 8년에서 10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학부 과정 4년과 신학대학원 3년, 예비기간 1~3년 등이다. 이 중에서 7년 과정은 필수. 학부의 경우 일반 대학을 졸업해도 되지만, 교단에서 목사 안수를 받기 위해서는 각 교단이 운영하는 신학대학원을 반드시 졸업해야 한다.

신학대학원을 졸업하면 목사가 되기 위한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일종의 자격시험인 ‘고시’를 치르게 되는데, 시험은 1년에 한 번 실시된다. 이 시험에 합격하지 못하면 1년을 기다려야 한다. 교단에 따라서는 ‘목사고시’, ‘강도사고시’, ‘준목고시’, 감리교에서는 ‘수련목고시’로 부른다.

목사고시는 예장 통합, 준목고시는 기장(한국기독교장로회), 강도사고시는 그 외 대부분의 교단에서 사용한다. 이 고시를 패스할 경우 1~3년여의 기간을 준비한 후 목사 안수를 받게 된다.

이 기간 동안 부르는 호칭이 바로 강도사와 준목, 수련목. 예장 합동총회는 ‘강도사’로 부른다. 통합총회는 별도의 명칭이 없이 ‘전도사’로 부르다가 바로 목사 안수를 받는다. 기장총회는 ‘준목’, 감리교는 ‘수련목’으로 호칭하고, 그 외 교단들은 강도사로 부른다. 성결교단은 특별한 호칭이 없이 전도사에서 목사가 된다.

예비기간은 교단마다 차이가 있다. 예장 합동과 통합을 비롯한 대부분의 교단들이 1년 정도의 기간을 거친 후 목사 안수를 받는다. 하지만 기장총회는 2년의 수련과정을 거쳐야 한다. 감리교는 개체 교회나 전문기관에서 1년 동안 서리로 사역하고, 연회과정 및 자격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연회 준회원으로 허입된 후 2년 동안의 준회원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성결교단은 조금 다르다. 기성총회의 경우 산하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4년의 전임 전도사 과정을 거쳐야 목사 안수를 받을 수 있다. 일반 대학을 졸업하고 신학대학원에 입학했을 경우 학부과정을 포함해 11년이 지나야 목사 안수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서울신학대학을 졸업한 경우 전도사가 되기 때문에 신대원을 다니면서 전임 전도사로 사역할 경우 8년 정도면 목사 안수를 받을 수 있다. 목사고시는 전도사 시무 중 어느 때나 볼 수 있고 고시를 패스하고 전임 전도사 시무기간만 끝나면 바로 목사 안수를 받는다.

하지만 강도사, 준목, 수련목이 아무나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각 교단이 정하는 자격이 있다. ▲덕행의 단정함과 지 교회의 무흠 회원이라는 증명과 추천서 ▲교역자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정신과를 포함한 건강진단서 ▲직무 수행에 방해가 될 정도의 채무가 있거나 채무보증을 한 경우 ▲음주, 흡연, 마약, 도박 등을 하거나 부도덕한 생활을 한 경우에는 자격을 박탈당할 수도 있다.

목사가 도덕적 정점의 위치에 있는 만큼 자격 요건 또한 까다롭다. 그리고 목사 후보생을 부르는 명칭과 과정은 서로 닮은 듯하지만 이렇듯 확연한 차이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