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와 세상 : 이라크전쟁과 향후 중국의 기독교정책
상태바
목회와 세상 : 이라크전쟁과 향후 중국의 기독교정책
  • 승인 2004.08.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혁위해 어쩔 수 없이 선택

1978년 이래의 지속적인 개혁개방에 힘입어 오늘날 중국은 놀랄만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다. 2003년 10월 유인 인공위성 신주(神舟) 5호의 성공은 중국이 과학기술·경제력·군사력의 강대국이 되었음을 유감없이 과시한 사건이었다. 그리고 2002년 11월의 공산당 당헌 개정과 올해 3월의 헌법 수정으로 중국은 자본주의개혁의 지속추진을 위한 제도적 여건까지 구축하였다. 2002년의 공산당 당헌 개정에서는 자본가계급까지도 공산당 당원으로 수용하였고, 금년의 헌법 수정에서는 사유재산보장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것이다.

이처럼, 중국은 경제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심각한 모순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떠한 모순인가? 바로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의 모순이다. 사회구조는 자본주의로 바뀌고 있는데, 집권당은 여전히 공산당이기 때문에 모순이 생기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비록 공산당이 자본주의개혁을 주도하고 있기는 하지만, 장기적으로 본다면, 이는 공산당의 존립기반을 점차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살아남자니 자본주의를 할 수밖에 없고, 그렇다고 자본주의를 무조건 받아들일 수도 없는 것이 중국공산당의 현실이다. 이른 바 진퇴양난(進退兩難)인 것이다. 그러므로 자본주의와 권력유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번에 잡는 것이 공산당의 향후 과제인 것이다.

중국공산당의 향후 기독교정책 역시 이러한 관점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중국인들은 기독교를 ‘자본주의 종교’로 인식하고 있다. 자본주의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으면서도 무조건 받아들일 수는 없는 진퇴양난을 기독교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느끼고 있다. 중국공산당의 입장에서는 미국 등 서방과 협력해야 하는 상황에서 기독교를 배척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공산당 정권에 장애물이 되는 기독교를 무한정 방치할 수도 없는 것이다.

우리가 지금 시점에서 중국의 기독교정책을 면밀히 관찰해야 할 이유는 이러하다. 뒤에서도 언급하겠지만, 중국 기독교는 정치적 상황에 특히 민감하다. 정치상황의 변동에 따라 기독교 교세도 부침을 거듭해 온 것이다. 그런데, 지금은 이라크전쟁 등을 계기로 세계질서 급변하고 있다. 따라서 이라크전쟁을 포함한 국제정세의 변동이 향후 중국의 기독교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를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 하겠다.

그럼, 이라크전쟁과 관련하여 향후 수년간 중국공산당이 어떠한 기독교정책을 취할 것인가에 대한 예측을 도출하기 위해, 중국의 기독교역사를 간략히 개괄하고 현재의 기독교정책 및 실태를 살펴본 다음에, 이라크전쟁이 기독교정책에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수를 고찰하기로 한다.

먼저, 중국의 기독교 역사를 간략히 개괄하면 이러하다. 당나라 때 카톨릭이 경교(景敎)라는 이름으로 중국에 전파된 적이 있지만, 그 후 수백 년간 크리스트교는 중국에서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했다. 그 후 명나라 만력황제(재위 1572∼1620) 때 예수회 선교사가 중국에 입국하였으며, 카톨릭도 다시 중국에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명나라와 청나라의 교체기에는 크리스트교가 성행하여 사대부 신자들도 생겼을 뿐만 아니라, 청나라 초기의 효장황태후(孝庄皇太后)처럼 기독교를 믿는 황실 인사들도 나타났다. 청나라 강희제(재위 1662∼1722)가 1715년 카톨릭 선교를 금지하였지만, 크리스트교는 지하에서 여전히 성행하였다. 그러다가 아편전쟁 이후 중국이 문호를 개방함에 따라 기독교의 중국진출도 강화되었으며, 1858년 천진화약(天津和約)에 의해 기독교 선교가 합법화되기에 이르렀다.

/김종성 수석집행위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