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격차! 지금 통일되면 모두에게 재앙
상태바
1:21 격차! 지금 통일되면 모두에게 재앙
  • 이인창 기자
  • 승인 2015.06.23 23: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단 70년 화해가 먼저다' 연속기획...이데올로기 넘어선 교회의 통일역량 길러야

통일의 가교 역할, 교회가 할 수 있다!

해방 70주년, 분단 70년을 보내고 있는 우리 사회와 한국교회 안에 통일에 대한 담론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은 다행이다. 

남북통일을 지향하고, 궁극적으로는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를 이뤄야 한다는 시대적 과제를 생각할 때, 토론은 더 치열해져야 하고 깊이는 더 깊어야 하며 내용은 더욱 구체적이어야 한다. 

한때 통일운동을 이야기하면 좌파로 매도되는 경우도 있었다. 반대로 통일운동은 진보주의자들의 전유물처럼 여겨져 그 테두리 안에서만 다뤄지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은 모두가 통일을 이야기하고 있다. 통일은 피해갈 수 없고, 피해가서도 안 된다는 것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가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당장 통일이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많지 않다. 전문가뿐 아니라 일반 국민들도 마찬가지다. 준비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 22일 방영된 종합편성채널 JTBC의 ‘비정상회담’에서 독일을 대표하는 청년 ‘다니엘 린데만’은 남북한 통일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더 자세히 말하면 독일과 같은 방식의 급작스런 통일을 반대한다는 뜻이다. 

1985년생인 이 청년은 그야말로 독일 통일 이후를 성장과정에서 직접 지켜본 세대라 할 수 있다. 당시 서독과 동독의 경제격차는 1:4 정도였는데, 그 이후 독일이 겪어야 했던 경제적 어려움과 갈등이 실로 엄청났고 지금도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란 게 반대의 배경이었다. 

지난해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남한과 북한의 국민총소득(GNI) 격차는 21분의 1 수준이다. 공산주의 국가 중에서 나은 편이었던 동독이 서독에 흡수통일 됐는데도 고통이 컸다고 하는데, 준비가 안 된 남북한 통일을 두말할 나위 없이 재앙 수준이 될 것이다. 

구나 서독 정부는 통일을 위한 준비를 꾸준히 해왔다. 1970년대 초반 서독 총리 빌리 브란트는 동독과 외교관계를 맺는 국가와는 외교를 단절한다는 기존 ‘할슈타인원칙’을 폐기하고 동유럽 국가들과 관계를 회복하는 동방정책을 시작했다. 독일 통일 전까지 이 정책은 지속됐다. 이 기조 아래 동서독 간 적잖은 교류들이 있었고, 이 안에서 서독의 교회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경동교회 박종화 목사는 한 토론회에서 “서독이 동독의 정치범들을 대가로 주고 데려왔는데, 교회들이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이를 요청했고 동독 당국은 이를 수락했다”고 이야기했다. 이 같은 역할이 한국교회에 필요하다고 주장이다. 동일하게 적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교회의 역할이 무엇이어야 하는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동서독과 달리 남북한은 70년 동안 극단적이다 할 정도로 단절돼 왔던 점을 생각하면, 지금 통일이 돼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 그래서 지금 필요한 것은 통일을 준비하는 일이다. 통일기금이 논의되고 있지만, 더 근본적으로 남북한 관계개선이 선행돼야 하고 신뢰에 바탕을 둔 교류협력이 중요하다. 

한국교회가 남북한 관계개선과 교류협력에 밑거름이 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 교회 안에분명히 존재했던 이데올로기 갈등을 중단해 교회 안에 평화를 이루고, 이것이 남북한을 연결하는 가교가 될 수 있는 실천으로 이어지게 만들어야 한다. 

 

▲ 한국기독교복음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한 포럼에서 발제자들은 복음적 통일을 주창하며 한국교회가 이데올로기를 넘어서 통일에 대한 비전과 역량을 길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독교 통일운동, 복음통일운동으로 하나돼야”
지난 19일 한국기독교복음단체총연합회가 국회도서관에서 개최한 포럼에서 평화한국 대표 허문영 박사(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는 한국 기독교 통일운동가 양분된 길을 걸어왔다고 분석했다. 

진보 기독교계의 ‘평화통일운동’과 보수 기독교계의 ‘북한선교운동’을 전개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자는 화해와 통일 과정을 중시하고, 통일회의 개최와 시국 통일선언 발표를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후자는 기도운동과 교회개척, 인도적 지원 및 인권운동 등을 중시해 왔다고 봤다. 

허 박사는 양 진영의 성과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진보 기독교계의 경우 1988년 노태우 정부의 7.7선언과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던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 이른 바 88선언을 높게 평가했다. 88선언은 2000년 남북정상회담의 결과인 6.15공동선언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보수 기독교계의 경우는 50~60년대 방송, 70~80년대 북한선교회, 90년대에는 교단과 연합기구, 선교단체들이 주도하는 변화를 겪었다며 최근에는 통일기반구축 차원에서 영역별 통일준비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고 봤다. 

허 박사는 분단 70년을 기점이 되는 올해 평화통일과 북한선교를 결합한 복음통일운동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한국교회가 번영신학을 탈피하고 민족사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적극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구체적인 실천을 위해 변혁적 통일신학 수립하고 △통일의지 제고를 위한 대북 사랑기도운동 확산 △통일능력 제고를 위한 대내 정의실천운동 전개 △통일환경 조성을 위한 대외 평화외교운동 추진을 제안했다. 

실행계획 중에는 8월 15일 2015년 평양 평화대회 개최와 9월 21~26일 베를린 평화축제 개최를 제안했다. 평화축제의 경우는 내년에는 동경과 모스크바, 2018년 평양에서 계속 진행해 복음통일과 세계선교 기반구축 기회로 활용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아울러 북한교회 재건운동을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도 제안했다. 

“통일은 환상이 아니다. 역량 모으자!”
같은 포럼에서 ‘해방 70주년 남북통일을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을 주제로 한 발제한 서울신대 박명수 교수는 “진보주의는 기독교는 이데올로기를 초월해야 한다고 보고 보수주의는 기도교가 공산주의를 반대해야 해왔지만, 기독교는 이데올로기를 초월하되 기독교 신앙을 반대하는 이데올로기에는 저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민족통일이 중요하지만 무조건 통일이 지고의 선이라는 것은 성서적이지 않다”고 경계했다. 또 “자유롭게 하나님을 믿을 수 있는 신앙의 자유가 중요하지만 지금의 통일 논의에서 신앙의 자유가 중심 위치를 차지하지 못한 것은 아쉽다”고 견해를 밝혔다. 

통일과 북한선교를 위한 제안에서 박 교수는 “민주주의 가치를 중심으로 삼고 그 기초 위에서 통일이 논의돼야 하며, 탈북자를 중요한 파트너로 여겨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한국교회가 북한인권문제에 더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민족평화나눔재단 이사장 소강석 목사(세에덴교회)는 “평양을 여러 차례 오가며 실제로 느낀 것은 통일은 환상이 아니라는 점을 확인됐다”며 “통일은 정치적인 협상이나 구조로 이뤄질 수 없다”고 주장해 눈길을 끌었다. 

소 목사는 통일을 위해서는 문화, 종교, 체육의 교류가 어느 정도 보장되는 길항관계가 지속되는 방법과 1국가 2체제와 같은 낮은 단계의 연방제 통일로 이루다 궁극적 통일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두 종류의 방향을 제시했다. 

또 “한국교회가 통일에 대한 바람이나 희망을 잃어버리고 통일 담론을 주도하는 역할을 못하는 실정이다”며 “통일신학을 구축하고 통일을 위한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전했다. 

보건복지부장관을 지낸 김성이 교수(이화여대)는 우리나라의 통일은 독일 통일과 달라야 한다며 구체적으로 복음으로 통일돼야 진정한 삶의 통일이 이뤄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민족구원운동의 주체는 교회로, 북한에 교회를 세우는 일이 복음통일의 핵심적 사역이 될 것”이라며 북한 지하교회 성도들, 북한 땅에서 신앙을 가졌던 사람, 탈북해서 북한 선교교육을 받은 사람, 자유사회에서 북한 선교교육을 받은 사람들을 일으켜 세우는 사역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교수는 또 현재 남북한 간 이질화된 정체성을 인식하고 하나의 정체성을 회복하지 않는다면 통일이 어렵다며 교회가 민족공동체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노력에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인창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