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교회 목회자 60.2% “재정 자립하기 어렵다”
상태바
농어촌 교회 목회자 60.2% “재정 자립하기 어렵다”
  • 공종은 기자
  • 승인 2014.04.21 17: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독신문, 농어촌 교회 교역자 대상 설문 조사

‘목회자 최저 생계비 제도 조기 시행’ 희망
84.3% “힘들어도 끝까지 헌신할 것”

농어촌 교회에 시무하는 목회자들 10명 중 6명이 재정적인 면에서 ‘지금은 물론 앞으로도 자립하기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목회자 최저 생계비 제도 조기 시행’을 강하게 희망하고 있었다. 그러나 목회자 대부분은 농어촌 교회의 사역에 계속 헌신할 의지를 갖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예장 합동총회 기관지인 기독신문이 총회 산하 농어촌 지역에서 시무하고 있는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나타난 것으로, 108명의 목회자와 사모들이 설문에 응답했다.

현재 시무하고 있는 교회의 ‘재정 자립 수준’을 알아본 결과 60.2%가 ‘지금이나 앞으로 자립하기 어렵다’고 응답했고, 30명 미만의 교회 84%가 대부분이어서 농어촌 교회의 암울한 상황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점점 자립하는 쪽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응답은 14.8%, ‘현재 자립하고 있다’는 응답은 24.1%였다.

주일학교가 없는 교회도 절반이 넘어 충격을 주었다. ‘주일학교가 없다’고 응답한 교회가 56.5%, ‘10명 이하’가 29.6%를 차지하는 등 주일학교가 없거나 10명 이하의 교회가 86.1%로 집계돼, 농어촌 교회 주일학교 상황의 심각성을 보여주었다.

목회자들은 ‘교단과 노회 차원의 대책 마련’ (50.0%)과 ‘도시 교회의 협력’(32.4%)을 절실히 요청했다. 또한 ‘농어촌 교회의 자생 능력’(16.7%)의 필요성도 함께 제기됐다. 그러나 교단의 정책은 미흡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단의 농어촌 정책 만족도’를 물은 결과 ‘매우 만족’하거나 ‘만족하는 편’이라는 응답은 7.5%에 그친 반면, ‘많이 미흡’하다는 응답은 63.9%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대안으로, 교단이 목회자 최저 생계비 제도를 조기 시행해 줄 것을 강하게 희망하고 있었다. 41.7%가 ‘최저 생계비 조기 시행’을 바라고 있었으며, ‘미자립 교회에 대한 재정 후원’(28.7%)과 함께 ‘총회 사무국에 전담 기구 설치’(12.0%)도 원하고 있었다. ‘농어촌 전도 및 목회 전략 개발’과 ‘도시 교회와의 직거래 주선’에 대한 부분도 10.2%와 7.4%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농어촌 교회 목회자들 대부분은 평생 농어촌 목회에 헌신할 것이라는 강한 소명의식을 갖고 있었다. ‘농어촌 교회 사역 지속 여부’를 묻는 질문에 대해 52.8%가 ‘가능한 한 현재의 위치에 충실하고자 한다’고 응답했고, 31.5%는 ‘평생 농어촌 목회에 몸을 바칠 것’이라고 대답해 84.3%가 힘들어도 농어촌 지역 복음화를 위해 끝까지 헌신할 의지를 내보였다. ‘더 좋은 조건의 사역지로 옮기고 싶다’는 응답은 15.7%였다.

이번 설문과 관련 기독신문은 “재정적 어려움은 목회자와 사모의 부업 의존도를 발생시키고 있었으며, 응답자 중 35.2%는 ‘목회 사역 외에 부업을 가지고 있다’고 고백했다”고 밝혀, 목회자들의 이중직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