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반감은 줄고 중립 늘었다
상태바
‘김정은 북한’ 반감은 줄고 중립 늘었다
  • 최창민 기자
  • 승인 2012.08.31 10: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2 통일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북한의 정권교체 이후 북한 정권에 대한 반감이 줄어드는 대신 중립적인 의견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KBS 방송문화연구소와 여론조사기관 엠비존(Mbizon)이 광복 67주년을 맞아 실시한 통일에 대한 국민 의식 조사에서 북한의 정권과 집권세력에 대해 ‘반감을 느낀다’는 응답이 45.5%로 가장 많았고, ‘그저 그렇다’는 중립적 입장은 41.2%, ‘호감을 느낀다’는 응답은 13.3%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반감을 느끼는 국민은 2011년 61.6%보다 16.1% 하락한 반면, 중립적 의견은 2011년 28.8% 보다 12.4%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변화는 지난해 말 김정일 사망 이후 변화된 북한 정세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되고 있다.

북한과 남한의 관계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경계 대상’(37.4%), ‘적대 대상’(19.3%) 등 부정적인 응답이 56.7%로 많았으며, ‘협력 대상’(29.2%), ‘지원 대상’(8.6) 등 긍정적 응답은 37.8%로 나타났다. ‘경쟁 대상’이라는 응답은 5.5%였다.

이중 ‘협력 대상’이라는 인식은 2010년 21.7%, 2011년 25.8%, 2012년 29.2%로 점차 증가하고 있는 반면, 북한이 ‘지원 대상’이라는 인식은 2010년 16.6%, 2011년 13.2%, 2011년 8.6%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북한 식량지원에 대한 태도도 무조건 지원은 점차 감소한 반면 무조건 중단은 잠차 늘어나는 추세를 보였다. ‘무조건 지원’(8.2%)해야 한다보다 ‘조건부로 지원’(64.4%)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왔으며, ‘무조건 중단돼야 한다’는 응답도 27.3%로 조사됐다.

‘무조건 지원’ 응답은 2010년 14.3%, 2011년 10.9%으로 점차 감소한 반면, ‘무조건 중단되어야 한다’는 응답은 2010년 21.6%, 2011년 24.5%에 이어 점차 상승했다. 금강산 관광 사업도 ‘무조건 진행’(22.1%)보다는 ‘조건부로 진행’(60.3%)이 월등히 많았으며, ‘무조건 중단돼야 한다’는 응답도 17.7%로 나타났다.

통일 문제에 관심이 있다는 응답은 73.8%(매우 관심 24.6%, 대체로 관심 49.2%)로 높게 나타났으며, ‘관심이 없다’는 응답은 26.2%(별로 관심 없음 22.8%, 전혀 관심 없음 3.4%)에 불과해 통일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높다는 것이 입증됐다.

큰 부담만 없다면 통일이 되는 것이 좋다 43.0%, 반드시 통일이 되어야 한다 25.4% 등 통일을 바라는 응답은 68.4%로 나타났으며, 교류협력을 하면서 공존상태 유지 24.6%, 통일이 되지 않는 편이 더 낫다 7.0% 등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1.6%였다.

통일에 대한 우려로는 남한 주민의 막대한 통일비용 부담 54.1%, 실업과 범죄 증가 등 사회적 혼란 18.5%, 정치․군사적 혼란 15.3%, 북한주민의 대량 남한 이주 11.1%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중 통일비용 부담에 대한 우려는 2010년 40.4%에서 2011년 45.9%, 2012년 54.1%로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통일 선결 과제로는 남북간의 경제교류협력 26.1%, 문화 교류 및 인적 교류 24.1%로 나타났으며, 이산가족 왕래 및 고향방문 18.7%, 남한의 경제성장 12.0%, 군사적 신뢰 구축 11.7%등이 뒤를 이었다.

통일에 도움이 되는 국가가 없다는 응답이 51.7%, 중국이 21.6%, 미국이 19.5%였다. 또 60.3%가 통일비용의 개인 부담 의사를 밝혔으며, 부담할 수 없다는 응답은 39.6%였다. 최근 안보상황이 불안하다는 응답은 79.3%, 전혀 불안하지 않다는 응답은 20.7%였다.

이번 조사는 KBS 남북협력기획단이 기획했으며 지난 8월 6일부터 7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27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조사 방식을 통해 이뤄졌다. 표본 추출은 전국 지역, 성, 연령별 분포에 따른 비례할당 추출 방법으로 진행됐으며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