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 지역에서도 ‘성도의 집’이 가정교회로 사용됐다
상태바
이방 지역에서도 ‘성도의 집’이 가정교회로 사용됐다
  • 이상규 교수
  • 승인 2020.07.29 12: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상규 교수의 초기 기독교 산책 -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어디서 모였을까? ④

이제 이방 지역에서의 가정교회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가정교회에 대한 흔적은 사도행전 13장 이후에도 산재해 있다. 바울은 데살로니가의 야손의 집(17:5), 드로아에 있는 집(20:8), 에베소의 여러 집(20:20), 가이샤라 빌립의 집(21:8), 예루살렘의 나손의 집(21:16)에 기거하며 가르치고 환대를 받았는데, 이런 집들이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집회 장소였을 것이다. 바울서신에는 보다 분명하게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가정 중심의 교회를 형성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에베소에는 브리스길라와 아굴라가 중심이 된 가정교회가 있었다. 이 점은 바울의 “아굴라와 브리스가와 그 집에 있는 교회가 주 안에서 너희에게 문안한다”(고전 16:19)는 언급에서 분명히 알 수 있다. 고린도에는 여러 가정교회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바울은 고린도에서 그리스보와 가이오에게 세례를 주었다고 말하고 있는데(고전 1:14), 그리스보는 회당장으로 온 집으로 더불어 주를 믿었던 인물이었음(행 18:8)을 고려해 볼 때 자기 집이 가정교회로 제공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가이오는 “온 교회 식주인”(the host of the all the church, 롬 16:23)으로 소개되고 있는데, 그는 바울에게만이 아니라 전체 교회에 후의를 베풀었던 인물로 보인다. 이 점은 가이오의 집이 또한 가정교회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또 바울은 고린도에 있을 때 스데바나 집 사람에게 세례를 베풀었는데(고전 1:16), 스데바나의 집은 아가야 지방의 첫 열매로서(고전 16:15), “성도 섬기기로 작정한 자”였는데 그의 집이 가정교회로 제공되었음을 암시하고 있다. 


바울은 데살로니가에는 하나 이상의 가정교회(살전 5:27)가 있었음을 말하고 있다. 데살로니가전서에서 5장 27절에서 바울은, “내가 주를 힘입어 너희를 명하노니 모든 형제에게 이 편지를 읽어 들리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것은 바울이 데살로니가 시내에 하나 이상의 가정교회 그룹이 있었다고 인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본문에 근거하여 말허비(Malherbe)는 데살로니에는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가정교회 그룹이 있었다고 확신하고 있다. 그는 또 라오디게아에도 하나 이상의 가정교회가 있었음(골 4:15)을 알고 있었다고 한다. 큄멜(W. G. Kümmel)은 골로세서 4장 15,17절과 빌레몬 2절에 근거하여 골로새에는 두 개의 가정교회가 있었다고 주장한다. 


가정교회와 관련하여 바울은 로마시에 적어도 세 개 이상의 가정교회가 있었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롬 16:5, 14, 15). 로마서 16장에서 바울은 자신이 알고 있거나 함께 일했던 26명에게 문안하고 있는데, 이 문안은 가정교회에 대한 정보를 주고 있다. 16장에는 적어도 3개 처의 가정 교회가 언급되고 있는데, 첫 번째는, “브리스길라와 아굴라의 집에 있는 교회”였다(롬 16:6). 지도자가 유대인이어서, 아마도 유대인 신자들의 가정교회로 보인다. 브리스길라와 아굴라는 바울처럼 장막을 만드는 사람으로서(행 18:3), 어느 한곳에 정주(定住)하지 않고 여러 지역을 순회하였다. 즉 본도에서 출생한 그는 로마에 거주하다가 클라우디우스황제의 유대인 추방령에 따라 고린도로 이주하였고(행 18:2) 다시 에베소로 옮겨갔으나(행 18:18), 다시 로마로 돌아간 것으로 보인다. 사도 바울은 고린도에서 이 부부와 접촉하게 되었고, 이집에서 가정교회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바울과 함께 에베소로 이거하여 그곳에 다시 가정교회를 세웠다(고전 16:19). 후에 브리스길라와 아굴라는 로마로 이거하였고, 그곳 자신의 집이 가정교회로 제공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는, 아순그리도, 블레곤, 헤메, 바드로바, 허마와 그들과 함께 있는 형제들을 포함하는 가정교회였다(롬 16:14). 이들의 이름이 헬라어라는 점이서 유대인이 아니었다. 앞의 세 사람은 동부 그리스 출신이고, 바드로마와 허마는 로마의 노예 이름이라는 점에서 노예이거나 해방된 노예였을 것이다. 아순그리도, 블레곤, 헤메, 바드로바, 허마로 대표되는 신자들은 다른 ‘형제들’과 함께 가정교회를 구성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백석대 석좌교수·역사신학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