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순사건’은 ‘반란’일까 ‘항명’일까
상태바
‘여순사건’은 ‘반란’일까 ‘항명’일까
  • 손동준 기자
  • 승인 2018.11.05 13: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회협, ‘여순사건’ 이달의 시선으로 선정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총무:이홍정 목사, 이하 교회협) 언론위원회(위원장:이동춘 목사)는 지난난 5일 이달의 ‘(주목하는) 시선’으로 ‘여순사건의 전국화는 가능한가’를 선정하면서 이 문제를 수면 위로 꺼냈다.

올해로 70주년을 맞이한 여순사건은 그 발단이 되었던 ‘제주4·3’에 비해 아직도 냉전 이데올로기의 그늘 아래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풀지 못하고 있다. 시기적으로 제주4·3의 연장선에 있으면서, 4·3과는 전혀 다른 맥락 속에 놓여 있는 것이 ‘여순사건’이다. ‘여순사건’은 1948년 10월 19일 전남 여수시에 주둔하고 있던 일단의 14연대 군인들이 제주 4·3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하고 무장 반란을 일으켜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많은 민간인이 희생된 사건을 말한다. 그러나 70년 전의 이 사건을 둘러싸고 진상에 대한 해석과 의미부여의 맥락을 둘러싼 갈등이 여전히 진행중이다.

단적으로 지난달 19일 여순사건 70주년 합동추념식에서 ‘반란’ 시비가 일었다. 이날 추념식은 그동안 서로 대립해온 민간인 유족과 경찰 측 유족이 처음으로 화해하는 자리로 준비됐는데 이전까지 양측은 매년 서로 다른 장소에서 ‘위령제’ 및 ‘순국경찰관 추모제’란 행사를 따로 치러왔다. 그러나 합동추념식을 앞두고 돌연 경찰 유족·경우회 여수지회 회원들은 불참을 통고했다.

이날 오전 여수시 중앙동 이순신광장에서 유족 등 6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합동추념식은 추모공연, 추모시 낭송, 4대 종단별 종교의식 등으로 이어졌다. 사달은 행사가 시작된 지 30여분쯤 ‘경과보고’ 순서 때 일어났다. 마이크를 잡은 추념식 집행위원장이 “여순사건은 좌익 군인이 일으킨 반란”이라고 언급한 것. 이 발언이 나오자 행사장 곳곳에서 탄식이 흘러나왔고, 일부 민간인 유족들은 강하게 항의했다.

교회협은 이 장면을 “70년 세월로도 치유되지 않은 상처가 드러난 것”이라고 평가하면서 “‘섣부른 통합’의 한계”라고 지칭했다. 교회협은 “여순사건의 경우 1997년도부터 국사교과서에서 사건의 명칭을 ‘수수순천 10‧19사건’으로 쓰고 있지만, 아직도 일반국민 대다수에게는 ‘여순사건’보다 ‘여순반란’이 더 익숙한 명칭인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교회협은 “여순사건의 자리매김은 70주년이라는 숫자상의 의미를 넘어서 냉전분단체제의 진정한 해체와 촛불의 완성이라는 의미를 지닌다”며 “정치권을 비롯해 학계와 시민단체, 언론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