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가정과 행복한 학교
상태바
행복한 가정과 행복한 학교
  • 정기원 교장
  • 승인 2016.08.30 22: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밀알두레학교 정기원 교장

2010년 우리를 깜짝 놀라게 한 기사가 보도된 적이 있었다. 우리나라의 초·중·고교생의 24%가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해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운 ‘위기 상태’라는 기사였다.

차명호 평택대 교육대학원장 연구팀이 교과부의 지원을 받아 2009년 10~11월 전국 81개 초·중·고교 학생 7262명을 설문조사해 작성한 것으로 전국의 ‘위기학생’은 177만9871명으로 전체 학생의 23.9%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한 것이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학교급별 위기 학생의 비율은 전문계고가 42.1%로 가장 높고, 인문계고 31.5%, 중학교 28.5%, 초등학교는 14.3%로 상위 학교로 갈수록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학업성적이 하위권인 학생의 43.3%가 위기의 학생으로 보았다. 이 연구팀은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의 교육이 겉과 달리 속으로는 매우 황폐화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고 결론을 지었었다.

그로부터 4년이 흐른 후, 우리나라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끔찍한 일이 일어나서 온 나라를 발칵 뒤집어 놓은 적이 있었다. 2014년 6월 21일 강원도 동부전선 육군 22사단 최전선 경계부대 GOP에서 총기를 난사해 12명의 사상자를 내고 무장 탈영했던 임모 병장이 자해를 시도하다가 생포된 사건이 일어났었다.

이때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이 “22사단에는 관심병사가 1800명 정도 되며 전체 병사의 20%에 해당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수치는 22사단에 특별히 집중된 건 아니고 일반적으로 이 정도 수준이다.”라고 덧붙였다.

위의 두 가지 일이 전혀 연관이 없는 일인 것 같지만 잘 살펴보면 긴밀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4%의 위기 상태의 학생들이 그대로 자라나서 군에 입대해서 20%의 관심병사가 된 것이다. 국가와 국민을 보호해야 할 중요한 임무를 지니고 있는 군인이 오히려 국가의 보호를 받아야 하는 어처구니없는 일로 이어진 것이다.

우리나라 군인의 20%가 관심 병사라면 그 전력 손실은 국가 안보에 너무나도 심각한 일이 아닐 수 없으며, 관심병사가 나중에 가정을 꾸리게 되면 위기의 가정으로도 이어질 수 있기에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교육을 생각할 때 한 가지 더 안타까운 것은 많은 아이들이 학교를 떠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2014년도 교육기본 통계 자료에 의하면 2010년도부터 매년마다 6~7만명(2011년 76,589명, 2012년 74,815명, 2013년 68,188명, 2014년 59,758명)의 아이들이 학교를 떠나고 있다.

2010년도부터 학령 인구는 급속도로 줄고 있는 추세다. 2010년 723만 6248명, 2011년 698만 6847명, 2012년 672만 1176명, 2013년 648만 1492명이다. 그렇다면 이에 비례해서 학교를 떠나는 학생들의 수도 줄어 들어야 하는데 계속 6~7만명을 유지한다는 것은 비율적으로는 늘어나도 있다고 보는 것이 맞다.

그러면 왜 학생들의 학업 중단이 일어나는 원인은 무엇 때문인가 살펴봤을 때, 교육부와 여상가족부의 자료에 의하면 해이 출국(유학)으로 중단하는 경우는 초등이 84.0%, 중등이 45.1%, 고등이 12.5인 것에 비해 가정과 학교 부적응으로 중단한 경우는 초등이 9.9%, 중등이 19.5%, 고등이 59.7%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통계 자료들을 접하면서 몇 가지 의문점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 나온다 . 2010년도 위기학생의 비율은 6년이 지난 지금 현재 줄었을까, 늘었을까? 최근에 신문이나 방송에 소개되는 학교의 모습들을 보면 당연히 증가했을 것이라 여겨진다. 앞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이러한 일들이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심해지지지 않을까 우려가 된다.

우리 학교 현장에서 위기학생이 만들어지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 원인을 제대로 밝혀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우선, 우리나라에서 최근에 위기 학생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를 가정과 학교의 측면에서 찾아볼 필요가 있다.

첫째가 이혼률의 증가를 들 수가 있다. 2012년 우리나라 이혼 부부는 11만 4,300여 쌍으로 OECD 회원국 중 이혼율이 1위이며 한 부모가정은 2012년 167만7,415 가구로 해마다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가족관의 유대 관계 약화이다. 맞벌이 가정이 증가하면서 가족 구성원들끼리 바빠지게 되어 가족관의 유대 관계가 점점 약화된 것이 위기 학생들이 생기게 된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1주일 동안 가족들이 만나서 저녁 식사를 같이 하기가 쉽지 않을 정도로 가족 구성원들이 바쁘게 되었다. 가족들간의 유대 관계가 약화되어도 어른들은 일에 전념하면서 그래도 견뎌낼 수 있는 힘이 생기지만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자녀들이다.

자녀들은 하루 삼시 세끼 밥을 꼬박 꼬박 챙겨 먹어야 성장이 이루어지는 것처럼 하루에 꼬박 꼬박 부모로부터 관심과 사랑, 칭찬을 받아야 몸과 마음이 건강한 아이로 자라날 수 있는 것이다.

셋째, 학교답지 않은 학교의 증가이다. 학교는 학생들에게 삶의 목표, 가치관, 비전을 가르쳐서 학생들의 가슴이 뜨거워지게 해야 하는데 오늘날의 학교들이 그렇게 하지를 못하고 오히려 입시 위주의 줄 세우기 교육을 실시하면서 공부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에 가면 인생이 행복해 지는 것처럼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고, 지적 호기심이 전혀 충족되지 않는 지루하고 재미없는 수업이 전개되고 있으며, 학교에서 선생님과 친구들, 선후배들을 인격적으로 만나는 즐거움을 전혀 맛볼 수 없기 때문에 학생들이 더 자극적이고 감각적인 것을 쫓아가게 되었고, 그러면서 위기학생들이 길러질 수밖에 없었던 것은 아닌가라고 생각해 본다.

그러므로 가정을 가정답게 행복하게 만들고, 학교에서 지적 호기심이 채워지는 진정한 배움활동이 일어나고 사귐의 즐거움이 살아난다면 위기학생의 문제는 해결이 된다고 생각한다. 사실, 오늘날 위기학생들의 문제는 가정이 가정답지 못하고 학교가 학교답지 못해서 생겨난 현상인 것이다.

아이들이 스마트폰에 빠지거나 인터넷 게임에 중독되고, 술, 담배에 젖어 드는 것은 아이들의 문제라기보다는 아이들의 마음이 힘든 것을 몸으로 말한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가정이 행복해 지고 학교가 학교다워진다면 아이들의 이러한 현상은 저절로 바람직하게 자리 잡아 나갈 것이라 여겨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