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공의 실현 위한 정치 참여 필요하다"
상태바
"하나님의 공의 실현 위한 정치 참여 필요하다"
  • 정재용
  • 승인 2008.04.16 21: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도와 투표'도 정치 참여의 또 다른 방법
▲ 교회가 먼저 연합하고 성경적 가치가 담긴 정책을 펼쳐야 한다.(사진ㆍ독일 기민당)

지난 9일 치러진 총선에서 기독교사랑실천당의 행보를 놓고 한국교회 내에서는 기독교의 정치참여에 대해 많은 의견들이 오고갔다. 더 많은 준비를 해서 다음 총선에는 당내 진입을 이루라는 격려와 4년 마다 반복되는 ‘안 되면 말고’식의 실험정치는 사라져야 한다는 비난, 그리고 성경적 정치참여의 모델 제시 등 다양한 주장들이 있지만 이들 모두가 하나님의 공의가 실현되는 나라를 소망하고 있음이 다르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자리를 잡기위해 기지개를 켜고 있는 한국의 기독정당은 이 시점에 유럽의 기독정당을 한번 돌아보고 이번 총선이 남긴 과제를 풀어가야 할 때이다. 오스트리아와 벨기에,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웨덴 등 유럽의 많은 나라들은 종교적 배경을 안고 있어 기독교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하지만 한 통계는 다양한 종교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한국은 잠정적 종교분쟁이 일어날 수 있는 위험국가로 분류 될 뿐만 아니라 타종교에 대한 배타성도 다른 어느 나라보다 강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유럽의 기독교 정당을 무작정 모델로 삼는다는 것은 무리가 따를 수도 있다. 

# 독일 기독정당 무엇이 다른가?

독일의 통일을 이뤄냈다는 평가까지 받고 있는 기독교민주연합(CDU)과 기독교사회연합(CSU). 어떤 배경을 가지고 어떤 노력을 기울이며 성장했기에 지금까지도 오랜 세월 집권할 수 있었을까.

독일 기독교민주연합의 경우 역사적 뿌리가 카톨릭주의와 중도당의 전통을 존중하고 이어받아 모든 계급과 계층, 카톨릭과 프로테스탄트, 보수주의와 자유주의를 모두 인정하는 연합정당으로 출발했다.

또한 이러한 배경은 다양한 사회계층을 통합해 나가며 정치적 입지를 확보해 범국민화를 지향하는 정당으로 태어날 수 있는 요건을 충족시켰다. 뿐만 아니라 좋은 정책의 정당과 다수의 지지를 받는 정당과의 연합을 통해 새로운 나라를 만들어 내려는 의지가 강했다. 정책 중심의 정치적 타협을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있었던 것이다.

연방 국가와 지방 분권의 정치 구조도 한 몫을 해 1949년부터 1969년까지 아데나우어가 13년, 에르하르트가 3년, 키싱거가 4년을 연방수상으로 재임했으며, 콜이 수상으로 집권하기까지 36년 간 독일을 경제대국으로 성장시키며 통일독일을 만드는 기독교의 힘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이다. 최근에는 사회복지와 국가보안 등 사민당과 정책적 동조체제를 구축하면서 정당으로써의 균형을 이루어 나가는 데는 이미 성공한 상태다.

하지만 한국의 기독정당은 다종교 국가라는 배경 속에서 정책이 상실된 정당, 타종교를 견제하는 정당 등의 이미지만이 부각되면서 범국민적 여론을 형성하고 지지를 얻는데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실정이다.

# 직접정치 vs 간접정치

기독교의 정당정치를 반대하는 여론은 있지만 정치적 참여 자체를 완강하게 반대하는 여론은 아직까지는 없는 듯 하다. 4년 전에 이어 이번에도 기독정당 창당으로 대두됐던 정교분리에 대한 입장들은 아직까지도 첨예하다. 정당정치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측에서는 정치적으로도 하나님의 뜻을 지키고 이뤄나가야 한다고 강조하는 반면, 다른 한쪽에서는 ‘기독교 정당만이 정치를 할 수 있는가’라는 의문을 던지며 다양한 정치적 참여를 제시한다.

정당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측에서는 목회자는 목회뿐만 아니라 기독교적 세계관을 가지고 청지기의 사명을 지켜나가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보다 적극적인 정치참여로 구경만 하기보다는 한발 더 나아가 나라를 이끌어가는 모습을 원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현재 국회에 진출한 기독교인 국회의원들에게도 정치가로서 기독교적 세계관을 가지고 정책을 펼치려는 노력을 더 많이 기울여 달라고 요구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문제들을 공감하면서도 조금 더 소극적인 참여를 주장하는 의견들은 그 나름대로의 대안들이 있다. 시민사회단체나 NGO 등을 통해 정치에 참여하는 모습과 국민으로서 참정권에 충실한 모습, 기독교인으로 하나님의 공의 실현을 위해 기도하는 모습 등을 그 대안으로 제안하고 있다.

정치적 이슈들에 대해 기독교 단체들이 힘을 모아 얼마든지 의사를 표현하고 바로 잡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최소한의 정치참여의 권리인 선거권을 통해 기독교적 정치의 신념을 지키자는 주장은 이번 총선에서 46%라는 투표율을 볼 때 또 다른 시각에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직접 정치와 간접 정치 결국에는 이 두 입장 모두 이 세상에 하나님의 공의를 실현하기 위한 교집합 안에서 공존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 한국교회의 과제

이번 18대 총선을 마치고 드려진 감사예배에서 조용기 목사는 조금 더 준비된 모습으로 한국교회 1,200만 성도들 앞에 다시 서달라는 당부를 했다. 기독교의 정치참여는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 더 준비해야 할까.

기독교윤리실천운동이 선거를 앞두고 개최 한 세미나에서 장헌일사무총장(국가조찬기도회)은 “한국교회는 어떤 경우에도 교회와 정치단체를 혼동해서는 안 된다”며 “교회의 권위는 영적이고 도덕적인 권위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기총과 교회협, 기독교시민단체들이 중요한 사안을 위해 힘을 뭉치는 것은 필요하나 정치적으로 변질되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주장처럼 한국교회는 분별의 능력이 필요하다. 자칫 잘못하면 기독교가 자신들만의 이익을 위한 이기집단으로 변질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 이벤트처럼 모이는 교회가 아니라 항상 하나가 돼 기도하는 모습과 은혜와 지혜를 구하는 모습도 정치 참여의 한 부분으로 올바르게 자리를 잡아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타종교와의 화합도 필요하다. 박득훈목사(교회개혁실천연대)는 “이번 총선에서 기독당의 지지율이 다소 올라간 것은 통일교에 대한 견제의 의미도 포함돼 있는 것 같다”며 “하지만 정당을 만드는 타종교를 견제하기 위해 창당을 한다는 것은 성경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다종교 사회에서 타종교에 대한 대립적 구도를 만들어 나가는 것은 종교 간의 갈등만 야기할 뿐이지 해결책이 되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이에 한국교회는 스스로 자정능력을 키우고 타종교 간의 화해와 선교적 역량도 키워나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이번 총선을 통해 한국교회는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우칠 수 있는 기회였다. 이국운교수(한동대학교)는 “정치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양성을 인정할 줄 아는 겸손함이 있어야 하고 정책에 대한 충분한 준비도 필요하다”며 “앞으로 한국교회는 정치를 위해서보다는 기독교의 가치를 전할 수 있는 일꾼 양성에 더욱 힘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전했다. 또한 “성도 한명 한명이 투표권을 가진 정치인으로 기도하며 하나님의 공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