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분야별전망-통일운동]‘주변국 현상유지정책’ ‘남남갈등’ 해결해야
상태바
[2006분야별전망-통일운동]‘주변국 현상유지정책’ ‘남남갈등’ 해결해야
  • 운영자
  • 승인 2006.01.18 15: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한국기독교 통일운동은 ‘해방60주년’이라는 고가치 슬로건을 휘날리면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평가다. 기독교계는 북한이 대대적으로 벌인 아리랑공연 참관을 위해 1만여 명 규모의 방북단에 포함돼 이벤트성으로 교류한 것 말고는 예년과 다름없는 지원활동을 했을 뿐이다.


이런 가운데 교회 밖에서는, 500회 이상의 남북대화가 오갔으며, 10억 달러가 넘는 남북교역량에 10만명 이상의 인적교류와 100만 명 이상의 금강산 관광, 11회에 걸친 이산가족 상봉 및 화상상봉이 이루어졌다. 더구나 비무장지대를 가로지르는 경의선 동해선의 연결과 개성공단 개발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 그야말로 급진의 상황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정부와 기업이 주도하는 한반도 통일여정은 투자와 생산을 거듭하며 ‘북한 경제지원’에 모아지는데, 이 부분에서 기독교가 할 일은 무엇인가라는 점을 깊이 성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실 남북교역 외에 순수 북한구호 부문에서 차지하는 기독교의 비중은 전체 규모의 1/5에 해당할 만큼 적극적이다. 기업이 주도하는 ‘이익을 전제한 투자’와는 질적으로 다른 문제인 것이다. 그럼에도 기업주도형 대북교류에 힘이 실리는 것은 북한주민의 피폐해진 경제력을 재생시키려는 단기목적에 모두가 동의하기 때문이다.


한국기독교의 통일운동은 이같은 단기목적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영구적인 한반도 평화정착’이라는 장기목적을 지향하고 있다. 이같은 장기목적을 위해서 통일운동가그룹은, 한반도 주변 국가들의 정책과 남북한 정부의 정책, 그리고 남한 내 국민들의 통일에 대한 합의된 생각들에 대한 분석과 대응이 발 빠르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충고하고 있다.


최근 중단된 상태인 6자회담은 이런 맥락에서 주목할 만 하다. 동북아 패권을 꿈꾸는 중국, 강대국으로 재기를 선언하고 있는 러시아 그리고 안정적 발전을 추구하고 있는 일본, 전 세계 패권유지를 천명하고 있는 미국 등 4개국은 남북의 통일보다는 현재의 긴장상태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나타난다.

북한은 북한대로 미국으로부터 체제보장 약속(=조약)을 받아내기 위해 ‘핵’을 담보로 게임을 하다가 최근 ‘인권’문제를 거론하는 미국으로부터 압력을 받는 중이다.


기독교통일운동은 현재 이같은 국제사회의 냉담한 현실을 직시한 가운데 우리나라 내부에서 벌어지는 ‘남남갈등’을 해소하는데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 단체가 조사한 설문에 따르면, 갈등의 주요소가 이념적인 것들로서, 일부에서 우려하던 대로 보혁간의 충돌이 그 어느 때보다 첨예한 상황이라고 한다.


기독교통일운동은 따라서 남남갈등을 해소시킬 만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만들어 가는 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역사학자 이만열 박사와 보수권 통일전문가 허문영박사, 세계교회협의회 중앙위원으로 활동하며 에큐메니칼 진영을 주도하고 있는 박종화 목사 등 보수권과 진보권 인사들은 대북 통일운동의 방법론을 다루는 각론에서는 차이를 드러내면서도 현재 대결상황을 드러내는 남남갈등에 대해서는 종식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벤트성이 짙은 대북교역과 행사성의 통일집회를 지양하는 대신 지난 2000년 6월 15일 남북정상이 이룩한 기본합의서 이행에 대한 지속적인 압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들은 ‘한미공조’라는 낡은 개념을 사용하기보다 ‘한미협력’ ‘남북협력’이라는 새로운 틀의 개념을 사용함으로써 남북통일에 장애가 되는 것들을 정돈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무엇보다 한반도 통일을 한 국가의 통일이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영구적인 평화를 보장하는 국제사회의 합의 틀에서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해 올 통일운동의 방향을 제시했다.

                                                                                       <윤영호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