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칠세부동석 때문에 탄생한 최초의 여성병원
상태바
남녀칠세부동석 때문에 탄생한 최초의 여성병원
  • 김태현 수습기자
  • 승인 2024.03.05 21: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기독교 유산을 찾아서 (5) // (중) 이화학당 부속병원 보구녀관
1880년대 당시 보구녀관
1880년대 당시 보구녀관

‘남녀칠세부동석’은 유교의 남녀 내외 관습을 가장 잘 묘사하는 고사성어일 것이다. 이러한 관념은 건강과 직결된 병원에서조차 적용됐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병원 세브란스에도 여성 의사가 있었지만, 대부분의 의료진은 남성이었다. 내외가 사회통념인 조선에서 남성 의료진이 대부분인 세브란스에 여성이 방문하기란 어려운 일이었다. 설립 첫해 내원한 총 1만 460명의 환자 중 단 약 800명만이 여성 환자였다. 

이화학당 설립자 메리 스크랜튼은 의료혜택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조선 여성들을 외면하지 않았다. 메리 스크랜튼의 아들 윌리엄 스크랜튼은 의사였다. 어머니와 함께 1885년 조선에 도착한 윌리엄 스크랜튼은 바로 본인의 자택에서 진료를 시작했다. 그러나 이내 환자의 증가와 사회 분위기 때문에 진료 장소를 이화학당 옆으로 옮겨야 했다.

이화학당에 자리 잡은 진료소는 고종이 시병원(施病院)이라는 이름을 내렸다. 그러나 메리 스크랜튼은 여성 치료를 위한 여의사의 필요성을 통감해 여의사 파송을 요청했다. 이에 미국 북감리회는 메타 하워드를 파견했다. 그는 첫 10개월간 1,137명을 치료하고 이듬해 1,423명의 환자를 진료하는 강행군을 펼친다. 

메타 하워드는 효과적인 의료활동을 위해 이화학당 근처에 위치한 한옥을 개조해 1888년 병원을 개원했다. 내부에 진료실·수술실·약제실·입원실 등을 갖춘 어엿한 병원이었다. 고종은 선교사들의 헌신에 감사를 표하며 ‘널리 여성을 구하는 집’이란 뜻의 ‘보구녀관(普救女館)’이라는 이름을 하사했다. 

보구녀관에서는 여의사가 여성만 치료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문전성시를 이뤘다. 가난한 사람에게는 무료로 진료와 처방을 했지만, 경제력이 충분한 사람은 진료비를 받았다. 보구녀관의 의료활동이 우리나라 여성들의 진료권을 보장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의료활동 외에 교육활동도 진행했다. 제3대 원장 로제타 셔우드는 최초로 우리나라 여성에게 의학을 교육했고 박에스더는 최초의 여의사가 될 수 있었다. 보구녀관은 또 최초로 간호교육을 시행한 곳이기도 하다. 간호 교과서를 번역·발간했고 한복과 양장을 섞은 최초의 한국형 간호복을 제작하기도 했다. 

보구녀관은 1913년에 동대문의 릴리안 해리스 기념병원과 통합됐다. 이후 1930년 산부인과만 전담하는 동대문부인병원으로 개편하는 등 여러 차례 개편 및 통폐합을 진행해 지금의 이대목동병원이 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