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자 10명 중 7명 “통일기금 낼 의향 있다”
상태바
목회자 10명 중 7명 “통일기금 낼 의향 있다”
  • 이인창 기자
  • 승인 2016.02.26 08: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PI, 목회자 통일인식 첫 설문조사 … 통일인식 일반인보다 높게 나타나

한국교회 목회자들의 통일에 대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통계자료가 처음 발표돼 그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일분야 기독교계 정책연구기관인 KPI 한반도평화연구원(이사장:김지철 목사, 원장 전우택 교수)이 목회자와 일반인 각 300명, 전체 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목회자들은 일반인들에 비해 통일에 대한 인식이 더 적극적이고 희망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 목회자 통일인식 ‘긍정적’, 실천도는 낮아 = ‘통일이 필요하다’는 데 대해 일반인은 62%가 ‘그렇다’고 응답했지만, 목회자들은 84.7%로, 22% 이상이 높게 통일을 염원하고 있었다. ‘남북한은 한민족이기 때문에 통일을 해야 한다’와 관련해서도 일반인은 61.3%, 목회자는 79%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통일을 위해 교회가 준비해야 할 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항목에서도 목회자들은 적극적인 통일참여 의지를 나타냈다.

목회자 81.7%가 ‘교회의 통일준비가 필요하다’고 답한 가운데, ‘교회가 통일 준비를 위해 기금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는 74%, 10명 중 7명 이상이 그렇다고 답했으며, ‘통일세를 납부할 용의가 있다’는 질문에도 69%가 의향이 있다고 반응했다.

반면 목회자들의 통일과 관련된 개인 활동을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통일인식은 높지만 목회 현장에서의 실천은 낮은 양상을 보였다.

‘통일 관련 설교를 정기적으로 하고 있다’는 질문에 32.3%, ‘통일 관련 세미나, 강연, 기도회에 참여하고 있다’에 대해서는 38.7%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통일 설교가 필요하다’ 74.7%, '교회 내 통일 관련 기도회가 필요하다' 78%고 답한 것과 비교해 볼만한 내용이다. 

‘통일관련 세미나, 경연이 필요하다’ 72.3%나 됐던 것과 비교하는 상당한 차이라 할 수 있다.

‘남북한 통일이 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을 묻는 질문에서도 목회자들은 일반인보다 더 빨리 통일이 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5년 이내는 일반인 15.3%, 목회자 26.7%였으며, 15년 이내는 일반인 33%, 목회자 39.3%였다. 30년 이내는 각각 36.7, 39%로 조사됐다.

탈북민들에 대한 공감지수에 있어서는 목회자들이 일반인보다 상당히 높았다. ‘탈북과정에서 고통에 대해 알고 있다’가 목회자는 69%였지만, 일반인은 51%였다. ‘탈북자가 잘 정착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관계형성이 중요하다’는 항목에 일반인은 64%, 목회자는 83.7%가 그렇다고 답했다.

장신대 임성빈 교수는 “목회자들의 통일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다는 점은 긍정적이고 고무적이지만, 그러한 인식이 실천이 안 된다는 점은 우리의 과제”라면서 “한국교회 통일에 대한 실천은 목회자 의지 외에도 교회 내 의사결정 시스템 속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고려해 이와 관련된 심층조사가 향후 필요해 보인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 통일문제 ‘이중적’ 인식 보여 = 목회자들은 ‘대북 인도적 지원을 지지한다’, ‘참여할 의사가 있다’는 항목에 각각 68%, 66.3%가 적극적 의지를 보였다. 일반인은 45.7%, 32%인 것과는 상당한 차이다. 하지만 실제로 대북 인도적 지원에 참여하고 있는 목회자들은 32%로 일반인 13.3%보다는 높았지만, 참여의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북한인권 개선운동을 지지한다’에도 목회자 70.7%로, 일반인 47.3%와 큰 차이를 나타냈다. 역시 실제 참여하고 있다는 목회자는 23.3%에 그쳤다(일반인 10%).

이 같은 인식과 관련해 관심 있게 지켜볼 부분이 있다. 보통 기독교계 안에서도 보수적 성향일수록 ‘북한 인권’을, 진보적 성향일수록 ‘대북 인도적 지원’에 더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 현장 사역 가운데 이 같은 인식은 정치 이념과 맞불려 여러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현장 목회자들은 달랐다. 이중적 태도를 보인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북 인도적 지원보다 북한 인권문제를 더 우선해야 한다’ 항목에 목회자 72.3%(일반인 61.3%)가 그렇다고 응답해 보수적 성향으로 인식됐다. 그런데 ‘북한 주민을 위한 인도적 지원이 더 우선되어야 한다’에도 목회자 72%(일반인 52%)가 진보적 성향으로 인식될 답을 한 것이다. ‘대북 인도적 지원과 북한 인권개선 모두 필요하다’는 목회자 77%(일반인 57.3%) ‘북한 정권은 싫지만 북한 주민은 도와주어야 한다’에 목회자 78.3%(일반인 57.3%)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또 ‘천안함 사태 이후 시행된 5.24조치는 해제되어야 한다’는 데 목회자 33%만이 그렇다고 답해 역시 보수적인 성향이 확인됐다.

하지만 현재 정부의 대북정책, 통일정책에 대해서는 10명 중 7명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목회자 41.3%, 34.7%가 ‘남북고위급접촉을 통한 8.25합의’, ‘이산가족상봉’이 정부의 성과다라고 평가했다. 일반인은 27.7%, 35%로 목회자들보다 낮았다.

현재 정부 운영 중인 ‘통일준비위원회의 활동이 남북통일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는 데 대해서도 목회자 43.7%(일반인 30.7%)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번 설문조사를 책임자 역할을 한 고려대 이장로 명예교수는 “기독교계 진보와 보수단체들이 대북 인도적 지원과 북한 인권개선 문제 중 한쪽으로 치우쳐진 모습과 달리 목회자들은 이를 구분해서 보고 있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위원으로 참여한 ‘따뜻한 한반도 사랑의 연탄나눔운동’ 박일수 팀장은 “북한에 대한 이중적 인식 개념은 일반인에게서도 나타나지만, 목회자들에게서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점이 유의미하다”면서 “특히 목회자들의 이중적 인식이 사회와 교회 안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갈등의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2015년 11월 26일부터 12월 22일까지 약 한달간 169개 문항의 온라인 설문조사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0% 수준이었다. 조사결과는 지난 26일 숭실대 한경직기념관에서 발표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