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복제·사형제도 '뒷짐'
상태바
인간복제·사형제도 '뒷짐'
  • 승인 2003.01.1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실로 다가온 인간복제와 계속 유지 시행되는 사형제도에 기독교계가 방향을 못잡고 우왕좌왕하고 있다. <관련기사 10·11면>

연초 벽두 갑자기 터져나온 인간복제 주장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인 사회시민단체들은 생명을 경시한 작태라고 규탄하며 기독교계가 공식 입장을 보이기 전에 이미 ‘절대자에 대한 도전’이라고 규정했다. 사형제도 폐지는 기독교계에서 가장 먼저 시작한 생명운동임에도 최근 들어서는 활동의 열세를 면치못한 실정이다. 오히려 가톨릭계의 활동이 강하게 일어나는 추세다.

생명복제가 본격적으로 사회문제로 대두된 지난 2001년 기독교·가톨릭·불교·여성계 등 사회시민 69개 단체가 결속한 ‘조속한 생명윤리기본법 제정 촉구 공동캠페인단’을 구성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모색해 왔으나 정작 생명운동을 벌여야할 교단, 교회들은 성명서 한 장 발표하고 뒷짐을 지고있다. 복제 양 ‘돌리’탄생이 지난 97년에 이루어졌음을 상기하면 무려 5년이 지난 현재까지 팔짱끼고 있다는 말이다.

그나마 최근 기독의사회나 한국누가회 등 기독전문의료인을 중심으로 입장발표가 있었다는데 위안을 갖지만, 5년이란 기간동안 교단과 교회들이 기독의료 전문기관과 연대활동을 펼쳤더라면하는 아쉬움이 크다. ‘…캠페인단’이 100만명을 목표로 생명복제 반대법안 입법 서명을 전개하는(www.bioact.org)가운데 최근 1천명이 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캠페인단’은 독일과 프랑스, 미국, 독일, 일본 등 다른 나라의 ‘금지법안’을 비교하며 우리나라에서도 금지법안이 입법돼야 한다고 주장,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지난 2001년 5월23일 인간복제에 관한 천주교·개신교 공동선언이 발표된 이후 예장 통합총회가 당해 총회에 ‘생명윤리헌장’을 상정했고 예장 합동총회도 성명으로 채택한 것이 현재까지 대응책이다. 범교단이 참여하는 생명운동 전문기구 설립이 필요할 때다.

윤영호차장(yyho@ucn.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