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과 현실의 차이
상태바
이상과 현실의 차이
  • 승인 2002.07.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먼저 선교단체 가운데는 비전이 분명하지 않은 곳이 적지 않다. 대개 동역회 형태로 선교사 지원을 잘하려는 마음으로 시작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 시대에 또는 한국 민족으로서 선교단체를 조직하는 것이 어떤 의미인가를 묻는 것이 부족하다. 선교단체 존재의 필연성을 한번 반성해 봐야 한다.
비전을 갖추어도 실재 현실에서 이루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돌이 많다. 한국선교사도 그런 이상과 현실 속에 한계를 느꼈으리라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적 선교 역량으로 선교를 감당하고자 노력한 부분이 인정된다.

먼저 숫적인 약세다. 이건 한국 전체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파송 선교사 숫자는 세계 2위이나 전체적인 세계 선교 주류 속에서 한국 선교사가 차지하는 비율은 1% 정도나 될까? 인력 재정 사역 내용에서 한국 선교사들이 리더십을 차지하는 곳이 적다. 또 한국 교회의 지원은 선교사의 생활비가 거의 다다. 다른 프로젝트가 사실은 매우 약하다.
한편 다국적 선교단체 속에 사역을 하는 한인 선교사가 많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한국민에게 주신 독특한 사명을 살리면서 일하는가 하면 그것이 약하다고 본다. 이것은 자생 선교단체 자체의 성숙한 리더십이 부족한 것과 관련 있다.
당시 한 텀이 끝난 선교사를 미국에 보내 모두 박사학위까지 공부하게 했다. 지금도 유학이 어려운데 당시 한국 교회의 반대를 무릎쓰고 이를 강행한 것을 생각하면 대단하다. 조동진박사의 생각은 한국 선교 리더십이 없으면 한국적 자생 선교단체의 미래는 없다는 것이었다고 본다.

그런데 공부를 해야 만 지도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사랑을 받는 풍토 속에서 자라야 한다. 한국에는 자수성가한 리더십이 많다. 굉장히 건조하다. 사랑을 듬뿍 받으면서 길러진 리더십이 없다. 자수성가한 리더십의 소유자는 남들도 자기와 같이 자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사랑받은 사람이 사랑할 줄 안다고 생각한다. 리더십이 형성되지 못하는 이유 가운데 또 하나는 코칭 스태프가 약하기 때문이다. 국제 선교단체들은 선교사를 후원하는 체제가 잘 되어 있다. 의료, 행정적인 부분을 돕는 사역자들이 조직화돼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스스로 살아 남아야 한다. 리더십을 키우는 분위기가 필요하다. 살아남은 사람이 좋은 리더인가는 물론 별개의 문제다.

김형익선교사(GP한국대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