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수의 영화 읽기]인간 향상을 위한 욕망은 어디서 멈춰야 하나
상태바
[최성수의 영화 읽기]인간 향상을 위한 욕망은 어디서 멈춰야 하나
  • 최성수 박사(문화선교연구원 칼럼니스트, 캄보디아 선교사)
  • 승인 2023.05.16 22: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이리언: 커버넌트](리들리 스콧, SF/공포/스릴러, 15세, 2017)
에이리언 커버넌트 영화 포스터.
에이리언 커버넌트 영화 포스터.

리들리 스콧 감독의 <에이리언: 커버넌트>는 굳이 이전 시리즈를 보지 않은 사람들도 그 내용을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그러나 감독은 새로운 시리즈를 시작하면서 1979년 작 <에이리언>의 프리퀄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에 다른 감독들에 의해 제작된 에이리언 시리즈는 혹시 몰라도 스콧 감독의 두 작품을 사전에 숙지하고 감상한다면 영화 이해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영화는 두 번째 프리퀄인데, 첫 번째는 2012년에 제작된 <프로메테우스>이다. 이 영화는 첫 작품의 배경이 되는 2122년보다 30년 전의 시기를 배경으로 한다. 이 영화에서 스콧 감독은 인간의 외계인 기원설을 탐색하는 내용을 다루었다. 이에 비해 <에이리언: 커버넌트>는 그 후인 2104년을 배경으로 하며, <에이리언>에 출현하는 괴생물체의 기원에 접근한다.

이번 영화에서 무엇보다 부각된 캐릭터는 데이빗과 월터다. 강 인공지능(strong AI)을 갖춘 휴머노이드이며 요즘 회자하는 말로 표현한다면 포스트휴먼이다. 인간의 형태를 가졌으나 인간보다 더 스마트하고 더 강하며 또한 더 오래 살 수 있도록 진화된 새로운 종을 말한다. 

스콧 감독이 이번 영화에서 전편의 시리즈물에서와는 달리 에이리언과 인간의 투쟁보다 AI 데이빗의 창조와 사악한 의도에 더 큰 비중을 둔 이유는 포스트휴먼 시대를 염두에 둔 포석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단순한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보여주기보다는 포스트휴먼 시대를 가능하게 만드는 인간향상 기술에 대한 인간의 욕망에 대한 경고라고 볼 수 있다. 그러니까 에이리언의 출현으로 인류를 위기에 빠뜨릴 정도로 위험한 상황이 전개된 까닭은 인간이 통제 불가능한 인공지능을 만들었기 때문임을 폭로하는 영화로 독해할 수 있다.

영화의 시작은 영화의 의미를 이해하는 일에서 매우 중요한 통찰을 주는 장면인데, 여기에서 데이빗은 자신을 만들고 스스로 데이빗의 창조자로 소개하는 박사와 더불어 창조자와 피조물의 관계에 관한 대화를 나눈다. 비록 만들어진 존재에 불과하더라도 AI인 데이빗은 인간 창조자보다 더 총명하고 더 강하며 또 더 오래 살 수 있는 사실을 기반으로 자신이 단지 피조물로서 인간의 명령에 따르는 존재가 아니라 괴생물체를 만들어냄으로써 창조주로서 정체성을 확인하고 또 창조주의 의도와 목적을 실현해 나갈 수 있음을 입증한다. 

현대는 인간과 기계(혹은 생물과 무생물)의 혼종을 의미하는 사이보그, 곧 이미 트랜스휴먼(transhuman)의 단계로 진입해 있는 상태이며, 심지어 새로운 종으로 인지되는 포스트휴먼 시대를 넘보고 있다. ‘포스트휴먼’은 현재 두 방향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데, 하나는 소위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으로, 이것은 근대의 인간 이해에 대한 비판을 겨냥한다. 다른 하나는 인간향상 기술(나노기술, 생명공학기술, 정보통신기술, 사이버네틱스와 같은 인지과학)에 의지해서 기능적인 측면에서 호모 사피엔스를 능가하는 새로운 종의 인간을 말한다.

유발 하라리의 글 『호모사피엔스』에서 언급된 인간과 전혀 다르며 또 새로운 종의 출현을 전제하고 사용하는 말이라 포스트휴먼은 아직 현실이 아니지만, 논의의 필요에 따라 인간이라 말할 뿐임을 명심하는 것이 좋겠다. 이와 관련해서 함께 고려되는 트랜스휴먼은 호모사피엔스에서 포스트휴먼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중간단계의 혼종 형태를 의미한다. 

신학적인 관점에서는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의 가능성을 실현할 단초인 인공지능과 관련해서 이런 질문이 제기된다. 인간의 정신과 육체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움을 줄 요량으로 시작하여 개발한 인공지능은 인간을 돕는 존재로 알려진 하나님을 기계로 대체하는 운동의 단초가 될 것인가? 사실 인류 사상사를 일별해 보면 인간이 뛰어난 지적인 능력에 근거하여 하나님을 인간의 지성이나 인류의 집단지성적인 활동으로 대체하려는 시도가 끊이지 않았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인간이 자신보다 더 나은 인공지능 개발을 통해 인간 향상을 시도함으로써 인간을 넘어 심지어 하나님마저 대체하려고 할 것이라는 점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이런 상상은 인류가 아직 포스트휴먼의 실현 단계에까지 진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야말로 상상에 불과하겠지만, 트랜스휴머니즘을 넘어 포스트휴머니즘이 하나의 인류문명의 지향점으로 여겨지고 있고 또 4차 산업혁명을 일으키며 시대의 흐름으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에서 결코 철없는 상상으로만 치부할 일은 아니다. 과학기술의 한계로 비록 지금은 상상의 힘을 빌어야 하지만, 얼마 되지 않아 현실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스콧 감독이 영화를 통해 경고하고 나서는 까닭도 기술 개발 뒤에 잠재해 있는 인간의 욕망을 보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국의 천체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은 강한 인공지능 시대가 오면 인류는 재앙을 맞이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래서 혹자는 “포스트휴먼의 시대가 오고 있다”고 주저 없이 말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닐지 싶다. 그리고 이미 1968년에 제작된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스탠리 큐브릭)는 인류문명의 종착점이 인공지능임을 예견하고 있다. 그 이후 제작되는 수많은 영화에서 등장한 인공지능은 더 이상 영화적인 상상력의 산물만이 아니라 산업현장은 물론이고 우리 생활 곳곳에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둔다면, 재앙이 현실이 되기 이전에 인간 향상을 위한 욕망은 어디서 멈춰야 할 것인지를 숙고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윤리적인 측면과 법적인 측면 그리고 종교적인 맥락에서도 함께 고려해서 풀어야 할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최성수 박사.
최성수 박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