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지주의, 구원에 이르는 특별하고 신비로운 지식 주장
상태바
영지주의, 구원에 이르는 특별하고 신비로운 지식 주장
  • 이상규 교수
  • 승인 2022.04.25 22: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상규 교수의 초기 기독교 산책 - 초기 교회의 이단과 이설(7)

영지주의: 앞에서 소개한 에비온파가 유대교적 배경에서 생성된 이단인 반면, 영지주의는 헬라적 배경에서 기원한 이단이었다. 초기 기독교회의 대표적인 이단인 영지주의는 70년경부터 250년 어간에 널리 퍼졌던 신지적 운동(theosophical movement)으로서 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영지주의는 그 기원이나 사상을 하나의 체계로 설명하기 어려운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영지주의는 하나의 사상체계라기보다는 신비주의적인 운동으로 평하기도 한다. 1세기를 거쳐 가면서 교회가 제도화되어 가자 신비종교가 영향력을 행사하였는데, 영지주의도 이런 유형이라는 주장이다.

반면 하르나크는 영지주의를 “기독교의 극단적인 헬라화”라고 보았다. 또 켈리(J. N. D. Kelly)는 영지주의는 “유대교, 헬라철학 및 동양철학의 혼합”이라고 하면서 영지주의를 ‘헬라화 된 기독교’라고 불렀다. 영지주의 대해서는 초대교회 교부들의 문서에서 약간의 정보를 주고 있지만, 1946년 북부 이집트에서 발굴된 나그 함마디(Nag Hammadi) 문서를 통해 영지주의의 실체를 보다 선명하게 알게 되었다. 특히 이 문서를 통해 초기 기독교가 영지주의의 강한 영향을 받았음을 알게 되었다.

영지주의(靈知主義, Gnosticism)란 지식을 의미하는 헬라어(γνῶσις)에서 유래하였는데, 이들은 구원에 이르기 위해서는 특별히 구별된 신비로운 지식을 소유해야 하는데, 이 지식이야말로 구원에 이르는 비밀 열쇠라고 주장하였다. 영지주의의 지도자들은 개인적으로 인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독특한 지식, 곧 그노시스를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이유에서 영지주의라는 이름을 얻게 된 것이다. 영지주의는 지역적으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므로 시리아, 알렉산드리아, 그리고 소아시아의 영지주의로 구분한다. 대표적인 영지주의자로는 안디옥의 바실리데스(Basilides)와 사토르니우스(Satornius), 알렉산드리아의 카르포크라테스(Carrrpocrates), 그리고 로마의 발렌티누스(Valentinus) 등이 있다. 초기 교부들인 이레니우스, 테루툴리아누스 혹은 클레멘트는 발렌티누스를 영지주의의 대부로 생각했다.

영지주의는 특히 두 가지 문제, 곧 창조와 구원 문제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창조 문제란 무한한 절대적 초월자가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물질세계를 창조하였는가에 대한 관심이다. 이들은 최고의 존재인 신으로부터 우주가 유출에 의해 생겨났고, 그 유출된 존재를 에온(Aeon)이라고 말하는데, 이 에온 중에서 최하위층에서 물질이 만들어졌다고 말한다. 이 최하위층의 에온을 데미우르고스(δημιουργός, Demiurgos), 곧 ‘세계의 형성자’라고 부른다. 구원이란 악의 존재와 악의 세력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데, 물질을 근본적으로 죄악시하고, 물질로부터의 해방을 구원으로 보았다. 즉 해방은 물질로부터 떠나 최고신의 충만한 광명, 곧 완전한 세계인 프레로마(πλἠρωμα, Pleroma)로의 복귀를 의미한다.

영지주의 사상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정리한다면 다음의 3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혼합주의적 체계라는 점이다. 영지주의의 근본사상은 인도, 바벨론, 페르시아 등 동양의 2원론 사상과 헬라 사상, 그리고 유대교의 필로(Philo), 기독교 사상이 혼합된 혼합주의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혼합’이라는 단어는 ‘결합하다’는 뜻의 헬라어에서 유래 하였다. 둘째, 이원론(Dualism)사상이다. 영지주의는 신과 인간, 영혼과 물질들을 이원론으로 파악한다. 물질세계는 악의 원리에 의해 지배되고, 선한 신에 의해 지배되는 완전한 정신의 세계인 플레로마와는 대립된다고 보았다. 즉 신(神)은 선하지만, 물질(物質)은 악하다고 보았고, 신은 물질세계와 무관하다고 믿었다. 또 악이란 물질로부터 나온다고 보아 선하신 신은 물질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한다.

백석대 석좌교수·역사신학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