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지기 신앙은 빈곤 해결의 본질적 대안"
상태바
"청지기 신앙은 빈곤 해결의 본질적 대안"
  • 김용은 목사
  • 승인 2016.10.20 1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빈곤문제와 교회의 역할-김용은 목사/미션허브 대표
▲ 김용은 목사 / 미션허브 대표

올 2.4분기 가계부채가 1,257조원으로 전년보다 11.11%가 증가했다. 가계부채를 가진 대출자의 1인당 평균부채금액은 7,206만원으로 이는 2012년 5,819만원 대비 23.8%(1,387만원) 증가한 금액이다.

개인회생 신청 건수도 2010년 4만6천972건, 2011년 6만5천171건, 2012년 말 9만368건, 2013년에는 10만5천885건, 2015년에는 11만 건으로 통계 조사 이후 매년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다.

청년실업률은 통계청 공식 집계로 올 해 2월 12.5%로 나타났는데 이 역시 1999년 IMF 이후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후 최고치이다. 하지만 비자발적 비정규직, 그냥 쉬고 있는 청년을 포함한 체감 실업률은 34.2%(현대경제연구원)라는 발표도 있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최근 5년 평균 개인회생 신청자의 10명 중 1명이 20대라는 것이다.

노인빈곤 상황도 마찬가지이다. 전 국민 중위소득 50% 미만의 소득으로 생계를 꾸려가는 65세 이상 노인빈곤율도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49.6%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 최근 파산자 통계에서도 4명 중의 1명이 노인이고 이와 연관해 노인 자살률도 10만 명당 55.5명(2014년)으로 OECD국가 중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한국과 세계는 ‘빈곤화 성장’이 더욱 가속화 되고 있다. 인도와 중국이 그나마 6,7% 대의 경제 성장률을 유지한다고 하지만 이 나라들도 역시 분배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고 부의 양극화는 변함없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 개인의 성실한 노동을 통해서 삶의 질에 대한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경제 현실은 사회를 서로의 인간성을 파괴하는 약 육강식적 생존경쟁으로 치닫게 하고 있다.

우리는 이전에는 국가와 대기업이 이뤄 낸 경제발전이 빈곤층을 없앨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지금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에서 경제발전은 가난한 사람들은 더욱 가난하게 하고 부자들은 더욱 부자를 만들어 줄 뿐이라는 인식을 갖게 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교계에도 동일하게 적용 되고 있다. 2008년 세계 외환위기 이후 한국교회의 재정과 신자 감소가 뚜렷해지고 있다. 어느 장로교단이 말하는 도시교회 자립율 10% 미만의 현실은 목회자의 66.7%가 최저생계비 163만원 미만, 이중 80만원 미만의 월수입으로 생활하는 목회자가 31%라는 현실적 통계가 여실히 보여 주고 있다.

신자유주의 시장경제 체제는 ‘시장’을 우리의 모든 삶의 구석구석으로 끌어들여와 극대화시켰다. 그 결과 이제는 돈이 있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지만 돈이 없으면 하루도 살 수 없을 것 같은 이른바 맘몬이 지배하게 된 사회를 만들어 놓았다.

이제는 단순한 구제나 돌봄이 근본적인 빈곤과 양극화의 문제를 해결해주지 않는다. 지금의 빈곤문제는 이제 ‘빈곤계층’의 고착화라는 문제를 보이며 단순한 구제의 문제를 벗어나고 있다.

사람들은 고통스러워하고 있다. ‘나는 어떤 삶을 살 수 있는가?’ 심지어 대다수의 기독교인들과 지도자들조차도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나는 어떻게 그리스도인으로, 사역자로 살아야 하는가?’ 그 대부분의 이면에는 벗어날 수 없는 경제적인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자연적으로 해결되지 않을 것이고 더욱 더 심각해질 것이다. 교회는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바라보고 현실적인 대안들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대안들은 단순한 방법 제시로서가 아니라 교회 공동체가 먼저 대안적인 모델이 되어 보여주는 방법이 되어야 한다.

구약의 ‘희년’ 선포와 초대교회의 ‘유무상통’은 사회에 선포하는 기독교적 가치를 품은 혁신적 대안 공동체 모델이었다. 거기에는 하나님이 원하시는 궁극적인 교회의 모델이 있었고 구원받은 성도들의 현실 적인 가치가 담겨 있었다.

지난 13일 유승민 의원은 ‘사회적경제법안’을 재발의 하였다. 국가와 시장만으로는 심각한 양극화를 극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회적 경제'를 통해 한국 경제의 새로운 대안을 마련한다는 취지에서다. 이 법안에는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과 같은 공유와 분배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리단체 형태를 지원하므로 대기업 위주의 경제정책의 문제를 보완하겠다는 구체적인 정책 내용이 담겨 있다. 환영할 만한 일이다.

많은 기독교인들도 이를 옳다고 보고 최근 사회적 경제 활동에 동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우리 기독교 교회가 제시하는 본질적인 대안은 될 수 없다. 교회는 더 좋은 전통과 공동체의 모델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부터 왔으며 우리는 그것의 청지기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생명과 모든 관계 그리고 토지, 경제는 우리의 소유가 아니다. 그것은 하나님 것이며 하나님께서 주신 유산이며 우리에게 맡기신 것이라는 믿음이다. 우리는 단지 그것을 잘 맡아 관리할 뿐이다. 우리는 이러한 본질적인 믿음 위에 교회 공동체를 세워나가고 경제활동을 하는 혁신적인 모델을 세워야 한다. 그러면 세상은 다시 회복되기 시작하고 분배와 빈곤의 문제도 치유될 것이다.

“너희는 오십 년째 해를 거룩하게 하여 그 땅에 있는 모든 주민을 위하여 자유를 공포하라 이 해는 너희에게 희년이니 너희는 각각 자기의 소유지로 돌아가며 각각 자기의 가족에게로 돌아갈지며….. 너희는 내 규례를 행하며 내 법도를 지켜 행하라 그리하면 너희가 그 땅에 안전하게 거주할 것이라. ” -레위기 25장 10, 18절-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