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사회 vs 불신사회
상태바
신뢰사회 vs 불신사회
  • 지용근 대표
  • 승인 2016.04.14 11: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용근 대표(지앤컴리서치)의 통계로 보는 세상④
▲ 지앤컴리서치 지용근 대표

작년 말 국민일보 창간기념으로 한국인의 의식수준에 대해 조사를 진행한 적이 있다. 조사 결과 특이한 내용 한 가지가 발견됐다. ‘나는 낯선 사람을 신뢰할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 ‘그렇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8.2%로 나타난 것이다.

이 질문은 국제기구에서 세계가치관을 측정하기 위한 신뢰도 인덱스 질문인데 그 이전까지 한국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현저하게 타인 신뢰도가 낮은 국가에 속하였다. 그런데 더욱 큰 문제는 1995년 30.3%, 2005년도 28.0%, 2010년 26.5% 그리고 2015년 8.2%로 점점 더 타인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광복 이후 최빈국에서 10위권 경제국가로 도약한 세계에서 전무후무한 국가로 알려져 있다. 국민총소득은 1953년 67달러에서 2014년 28,000달러로 420배 성장했고 수출은 1956년 2,500만 달러에서 2014년 5,700억 달러로 2만 배 성장했다.

그러나 이런 압축성장의 후유증으로 노인빈곤율 48.5%로 OECD 1위를 차지하고 있고 11년째 자살률 세계 1위라는 부끄러운 지표도 갖고 있다. 1인당 국민소득은 2만 달러를 넘은 지 10년 가까이 됐지만 3만 달러의 고지를 좀처럼 넘지 못하고 있다. 왜 더 앞으로 가지 못할까. 필자는 ‘신뢰’라는 사회적 자산요인에서 그 원인을 찾고 싶다.

OECD의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정부에 대한 국민 신뢰도는 34%로 조사대상 국가 41개국 가운데 26위로 중하위권인데 특히 사법제도에 대한 국민 신뢰도는 27%로 41개국 중 39위로 거의 밑바박 수준이다. 유전무죄 무전유죄의 뿌리 깊은 국민적 불신이 잠재되어 있는 것이다. 또 작년 보건사회연구소의 주요 기관에 대한 신뢰도 결과를 보면, 정치 17%, 행정부 32%, 검찰/경찰 32% 정도의 수준을 보였다.

최근 불교사회연구원의 각 기관별 신뢰도 조사에서도 종교계 12%, 의료계 22%, 시민단체 22%, 금융기관 21%, 국회/정당 3%로 낮은 신뢰도를 보이고 있다. 이상과 같이 우리는 광범위하게 낮은 신뢰 사회에 살고 있는 것이다. 이를 경제적 비용으로 계산하면 엄청난 손실이 아닐 수 없다.

지난 몇 주간 전국을 들끓게 만들었던 총선이 끝났다. 이제 새로 뽑힌 300명의 국회의원들에게 대한민국호를 맡겨야 한다. 하나님께서 이 대한민국의 리더들을 활용하셔서 국민이 국가를 신뢰하고, 교회를 신뢰하는 나라로 다시 태어나길 기도해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