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수의 문화칼럼] 신학문화와 신학함
상태바
[최성수의 문화칼럼] 신학문화와 신학함
  • 운영자
  • 승인 2015.10.20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성수의 신학문화 (2)

기독교 문화는 기독교의 생명활동을 통해 형성된 것이며, 또한 기독교가 유기적인 생명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기여한다. 기독교 문화에는 크게 교회 문화와 그리스도인의 생활 문화 그리고 신학 문화가 있다. 그리스도인의 교회 생활 때문에 교회문화가 생기고, 그리스도인이 세상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그리스도인 생활문화가 만들어지듯이, 신학문화는 교회와 세상에서 그리스도인의 신학함 때문에 형성된다.

‘신학 문화’를 쉽게 이해한다면, 같은 기독교라도 교단 간의 문화가 다른 것은 신학이 다르기 때문임을 떠올리면 될 것이다. 예컨대, 앨리스터 맥그래스는 책 “기독교 그 위험한 사상과 역사”에서 개신교의 기원과 다양한 발전 양상을 성경해석의 다양성과 관련해서 설명했다. 또한 신학함의 차이가 바로 성경이해의 방법에 영향을 미쳐 다양한 차이를 일으킨다고 말했다.

한국의 신학 문화의 현주소를 살펴보기 전에 먼저 숙지할  개념은 ‘신학함’이다. 신학함이란 진리에 이르는 여러 방식 중에 특히 신학을 매개로 하는 노력을 말한다. 일정한 환경과 상황에서 실존 의식을 갖고 배우고 가르치며 비판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매개로 신학적인 주제에 대해 사고를 전개하는(혹은 하나님 말하기를 실천하는) 일체의 활동을 일컫는다. 곧, 누군가가 신학함을 실천한다면, 그것은 신학의 형성과 전승 혹은 이해 및 비판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것을 일컫는다. 신학을 내용이나 논리에 따라서만 이해하는 방식을 지양하고 또한 학습 과정을 통해서만 하나님을 이해하려고도 하지 않는다. 오히려 직접적인 실천 혹은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하나님을 역동적으로 이해하려 노력한다.

문화의 차이에 따라 신학함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은 대체로 받아들여지는 사실이다. 미국 문화는 미국인의 독특한 실존 상황 때문에 미국 신학을 생산하고, 유럽 문화는 유럽인들의 독득한 상황 때문에 유럽 신학을 낳는다. 그들만의 독특한 사고방식이 있는지는 더 고민해보아야 할 일이지만, 신학이 그들의 공동체 이야기와 실존 상황에 따라 달라진 것만은 분명하다.

특히 주제와 문제의식 그리고 이것들을 접근하는 방식에서 다르다. 이런 현실을 무시하고 신학 문화 권력자인 신학자 혹은 목회자가 한국교회의 실존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혹은 적어도 한국교회의 문제와 주제의식과 무관하게 서구 신학을 수입하며 소개하는 것은 상투를 쓴 사람에게 양복을 입히는 꼴이다. 과거 민중 신학과 토착화 신학이 이점을 강하게 환기했지만, 일부의 반응만 있었을 뿐 한국 교계와 신학계는 진지하게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교회와 세상에서의 나타나는 그리스도인의 이중성은 세계적인 문제이지만, 유독 한국 교회에서 더 크게 부각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 안에서 형성된 기독교 문화가 없으니 당연한 것 아닐까? 이것은 개인과 가족과 직장 그리고 사회와 국가와 관련해서 신학함이 부재한 까닭은 아닐까? 서구 이론을 안다도 해서 한국 교회와 신학에 무조건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한국교회의 문제를 신학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그것을 신학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