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날의 검과 같은 스마트 교육, 모두의 숙제
상태바
양날의 검과 같은 스마트 교육, 모두의 숙제
  • 김목화 기자
  • 승인 2014.01.22 00: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마트 교육, 해야 할까? 하지 말아야 할까?
최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폐해와 문제점이 이슈화되고 있는 반면 스마트 교육(Smart Education)이 새로운 교육 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스마트폰이 삶 속에 들어오면서 생활의 편리함을 누리기도 하지만 무분별한 사용으로 적지 않은 문제점들이 나타나는 가운데 어떻게 해야 청소년 교육에 스마트 미디어를 적절히 적용할 수 있을까?

효과적인지 문제가 있는지 확실한 연구 결과 없는 상태
무리하게 전면 시행 보다 교실 속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컨텐츠 골라 써야

vs

교육 콘텐츠 플랫폼 속 교육 콘텐츠
웹과 모바일 통해서도 공부

사교육비 절감하며 성적올릴 수 있어

지난해 12월 29일, 서울시교육청은 2014학년도 주요 업무 계획 중 ‘(가칭)스마트교육 실험학교 설립’을 밝혔다. 또 스마트교육을 2년간 준비해 2016년에는 스마트교육 실험학교를 개교하겠다고 발표했다. 세종시에서 이미 운영하고 있는 스마트 스쿨과 비슷하다.

한편 세종시는 오는 6월 스마트패드와 전자칠판 등을 연동하고 있는 양방향 수업에서 교실의 책과 재래식 칠판을 몰아내고 각계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새로 개발한 교육 콘텐츠 플랫폼(platform, 컴퓨터 시스템 운영체제)을 세종시 관내 모든 학교에 보급할 계획이다. 교육 콘텐츠 플랫폼은 교육부의 시스템을 스마트스쿨에 맞게 발전시킨 것으로 수업용 콘텐츠를 교과서 단원별로 배열, 별도의 검색 없이도 교사가 원클릭으로 진도에 따른 콘텐츠를 십게 수업에 활용 할 수 있게 구성하는 방식이다.

시교육청 측은 “이용자가 인터넷의 여러 사이트를 일일이 방문하지 않아도 플랫폼에서는 원하는 검색어를 ‘웹 로봇’이 찾아낸 뒤 개인 저장소에 배달해 주는 첨단 시스템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교육 포털에 저장된 데이터를 교사나 학생들이 맞춤형 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저장소에 모은 콘텐츠마다 일정한 꼬리표(태그)를 단 뒤 콘텐츠를 교과서 단원별로 분류해 주는 메타데이터 시스템도 구축한다. 교육청은 “분류 작업을 통해 콘텐츠가 교과서 단원 순서대로 분류되기 때문에 교사들이 한 번의 클릭만으로 진도에 맞는 정보를 손쉽게 수업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시교육청은 또 교육청 포털에 1만 건의 EBS 학습동영상을 탑재해 관내 모든 학생들이 웹과 모바일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교육비를 절감하면서 성적을 올릴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서울시교육청에서 계획 중인 스마트교육 실험학교도 이와 비슷한 모습이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교육 시스템을 적극 추진하는 교육청과 달리 이에 ‘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겉모양은 좋지만 실제로는 많은 문제가 있다는 것.

좋은교사(공동대표:김진우, 임종화)에서는 최근 논평을 통해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지난 7년간 무수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고도 크게 진전시키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바로 교육적 효과성과 비용 등 종합적으로 검토할 때 의미가 없다는 판단을 내렸기 때문”이라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스마트 교육 전면화를 교육청이 해낼 수 없다. 그럼에도 서울시교육청은 스마트 교육 실험학교 설립을 추진하겠다고 하는데 무엇을 위한 실험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예산에 있어서도 스마트 교육을 해야 할지 고민스럽기는 마찬가지. 정부는 2015년까지 진행 할 스마트 교육 추진에 2조 2280억 원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좋은교사 측은 “2조여 원이라는 추정 예산도 문제지만, 더 문제가 되는 것은 인프라 구축 이후 소요되는 비용”이라며 “인프라 구축 이후에도 유지 보수 비용, 개발 비용 등 상당한 예산이 소요, 태블릿 PC 유지 보수 및 구입 비용은 학생과 학부모에게 부담으로 전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시도별 스마트 교육 예산이 편차가 심해 집중적인 예산을 투자해 전면화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

그렇다면 어떤 대안으로 스마트 교육을 전략해야 할까?

(사)좋은교사운동은 스마트 교육 추진 전략에서 △태블릿 PC 영역 제거 △디지털 교과서 사업 범위 축소 △사이버 가정학습의 일원화 △학교별 소량, 저가의 TPC 지급 △전자칠판 사업 중단 △무선망 사업 중단 △IPTV 사업 중단 △OER(Open Education Resources) 센터 구축에 정부 기관 역량 집중 △중소기업 제품 사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 등을 제시했다.

스마트 교육 추진 전략에서 태블릿 PC 영역을 제거하면 디지털 교과서 사업의 거품이 빠지고 교육정보화 사업에 제한된 예산과 인력을 성공 가능한 영역에 집중해 정부 기관의 역할을 증명할 수 있게 된다.

또 TPC는 모바일 기기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프로젝트 수업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하지만 기기는 노후화 되기 쉽고 유지 및 보수 비용, 관리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때문에 고비용, 고사양의 TPC 보다는 중소기업의 저가형 TPC를 학교별로 소량 보급하는 것이 중소기업 활성화와 국가 균형 발전에 도움이 된다.

이에 따르면 전자칠판 또한 교실에 비치해야 할 필요성이 사라진다. 실제 현장 교사들의 따르면 효용성이 현저히 낮고 전자칠판의 다양한 기능들이 수업에서 활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스마트 교육의 좋은 사례를 보면 출석율 증가,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보기도 한다. 하지만 의학적으로는 전자기기 등에 간접 노출도 유해하다. 실제로 화면을 통해 작동하는 모든 전자기기가 24개월 이하 유아의 경우 정상적인 성장과 두뇌 발달을 저해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좋은교사운동 문경민 교사는 “스마트 교육이라는 것은 마케팅 용어일 뿐 실제로 교육적인 측면에서 활성화될 지는 미지수”라며 “이미 7억에 가까운 예산을 들여 사업전략을 짰지만 그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무엇보다 굉장히 많은 돈을 들여가면서 꼭 해야 하는지 의문”이라며 “효과적인지,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에 대해서 확실한 연구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정보화 사업을 전면화 시도하는 게 가장 큰 문제다. 무리하게 전면 시행하기 보다 교실 속에서 학생들이 꼭 필요한 컨텐츠를 필요에 맞게 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요즘 아이들은 ‘디지털 원주민’이라 불린다. 시대가 시대인 만큼 디지털 기기를 피할 수 없는 현실이지만 그만큼 사회와 가정에서는 청소년 교육에 있어 정보화의 장단점을 학습해야 할 숙제가 놓여있다. 또 교육 내 각 분야들을 더 심화해야 할 여지가 많다.

양날의 칼과 같은 스마트 교육. 긍정적인 효과와 더불어 부정적 효과도 만만치 않다. 스마트 기기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교육부의 제도와 교육과 더불어 학부모와 학생, 교사도 적극 나서 단점을 극복하고 나아갈 길을 위해 힘써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