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포기하면 한국교회의 미래는 없다
상태바
다문화가정 포기하면 한국교회의 미래는 없다
  • 최창민 기자
  • 승인 2011.05.11 09: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0년 후 5명 중 1명이 다문화가정 자녀

한국은 더 이상 단일민족 국가가 아니다. 주위에서 외국인을 흔히 만날 수 있다. 또 외국인과 결혼한 사람, 혼혈인을 만나는 일이 더 이상 어색하지 않다. 이미 한국은 다문화사회로 급속도로 변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10월 여성가족부 등이 19세 이상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다문화에 대한 국민 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한국이 다문화사회라는 데 74.7%가 동의했다. 다문화사회가 아니라는 응답은 23.8%에 그쳤다. 다문화사회라는 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의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정, 혼혈아, 외국인 노동자, 이주여성 등에 대한 사회적인 시선은 달라지지 않고 있다. 이방인처럼 취급받으며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차별을 당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다문화가정의 증가와 사회변화, 교회적 대응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다문화가정 편견과 내국인 중심 사고 여전해
지역 사회와 협력해 교회 역할 적극 모색해야


# 다문화가정 증가와 실태
국제결혼을 통한 다문화가정의 확산 속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거주하는 사람은 2009년 말 기준으로 168,00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144,385명에 비해 약 15% 증가한 수치다.

현재와 같은 추세로 국제결혼이 증가할 경우 2020년에는 결혼하는 다섯 쌍 가운데 한 쌍이 국제결혼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그 자녀들은 약 167만 명에 달할 것이란 예측이다. 즉 2020년에는 20세 이하 인구 5명 중 1명, 신생아 3명 중 1명이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된다는 의미다.

2010년에 발표된 교육과학기술부 통계에 따르면 다문화가정 자녀는 3만4338명이다. 이는 지난 2005년 6121명에 비해 다섯 배 넘게 증가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10년 후 우리나라 청소년 5명 중 1명이 다문화가정 출신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 증가 속도에 비해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처한 현실은 혹독하기만 하다. 지난 2008년 정부가 발표한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교육 상황에 대한 통계를 보면 다문화가정 자녀 24,867명 가운데 정규교육을 받은 학생은 18,769명에 불과했다. 약 4분의 1에 해당하는 6,098명의 학생들이 학교를 다니지 않고 있는 것이다.
그 비율은 상급학교로 옮겨갈수록 심각하게 증가했다. 초등학교는 15.4%, 중학교는 39.7%, 고등학교는 무려 69.7%가 교육에서 이탈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가 고등학교까지 의무교육으로 보장하고 있는 현실에 비춰보면 심각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일반가정 자녀의 미취학률인 초등학교 0.4%, 중학교 4%, 고등학교 8.7%와 비교해보면 그 차이는 현저하다. 

이처럼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상급학교 진학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은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혼혈아에 대한 편견이 원인인 것으로 정부는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원인이 존재한다. 엄마나 아빠 어느 한쪽에서 한국어가 서툴기 때문에 자녀 교육이 쉽지 않은 것이다. 전문가들은 영유아 초기 언어발달과 학습이 가정에만 맡겨져 있는 상황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충분한 언어습득 과정을 겪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초기 언어습득에 실패한 다문화가정 아이들이 상급학교 진학이나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들은 또 성인이 돼 취업이나 진로선택에서도 불리할 수밖에 없어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결국 이를 보안할 다문화가정 공부방이나 학습보조 활동 대책이 정부와 지자체 차원에서 마련돼야 한다는 의미다.


# 선교적 차원의 대안 찾기 시급
지난 2007년 정부는 거주외국인 표준 조례를 제정했다. 조례에 따라 한국어 및 기초생활적응 교육과 문화, 체육 행사 등을 지원하고 있다. 또 이주민의 한국 사회 부적응이나 사회적 편견 등을 사회통합의 부정적 요소로 파악하고 개선의 노력을 펴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증가와 그에 따른 사회변화의 책임을 정부에만 맡길 수는 없다. 사회 변화에 대응하고 긍정적인 구조를 만들어가는 데 있어서 교회의 책임과 역할이 강조되는 이유다.

이처럼 교회 역할이 강조되고 있지만 교회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문제를 안고 있다. 저개발국에서 온 사람들에 대한 깊은 차별과 편견, 돈 벌이를 위한 위장 결혼에 대한 오해 등 사회가 가진 편견이 교회 내에서도 고스란히 존재한다. 이 같은 편견은 다문화가정이 안고 있는 경제적 빈곤 상태, 가정폭력, 낮은 사회적 성취감과 자녀 교육의 부재 등의 상황을 방관하게 만든다.

정부의 각종 지원에 따른 시설이 늘어나면서 한국 교회도 이 시설을 위탁 운영하는 곳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 정책을 그대로 시행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정부의 다문화가정 정책을 면밀히 검토하고 사각지대에 놓인 사람들이나 정책적 해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 민간이 맡아야 할 영역 등을 적극적으로 찾아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국 교회는 시급히 다문화가정 혹은 이주민 선교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미 상당수 교회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주일학교나 청소년부에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교회의 대응과 배려 부족으로 인해 많은 아이들이 상처 속에서 교회에 정착하지 못하고 떠나는 것이 현실이다. 아직까지 교회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내국인자녀 중심의 교육 방식 때문이다.

안산이주민센터 대표 박천응 목사(다문화교회)는 “다문화사회는 다수자인 한국인부터 변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올바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며 한국 사회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 변화를 촉구하고 “한국 교회의 다문화 지원 및 교육 방안에 대한 관심과 예산 및 인력지원 등 특별한 정책적 관심과 과감한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 목사는 구체적인 방안으로 △총회적 차원의 다문화 기독교교육 과정 개발 △다문화 아동 기독교교육 지침서 개발 △개교회 다문화 교사 및 프로그램 지도 연수 △정부의 손이 미치지 못하는 영역의 교회 지원 개발 △ 지역사회와 교회의 협력사업 등을 제안했다.

그는 “다문화가정의 다중 정체성 교육과 한국인 가정 자녀들의 다문화적 사고 교육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다문화적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회의 지역사회 봉사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대표 한국염 목사는 “이런 현실에서 다문화가정 구성원인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들을 우리 이웃으로, 우리 미래를 짊어질 사람들로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며 “다문화가족이 어떻게 서느냐에 따라 우리 사회의 미래가 달려있다. 다문화가정의 이웃이 되기 위해서는 결혼이주여성을 더 이상 이방인이 아니라 우리의 형제자매로 받아들이는 인식전환이 요청된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