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타결에 한국 교회 역할 빛났다
상태바
용산 타결에 한국 교회 역할 빛났다
  • 최창민
  • 승인 2009.12.30 14: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45일 만에...연내 처리, 인도적 해결 거듭 요구
▲ 해를 넘기지 않은 용산 협상 타결에 한국 교회의 거듭된 요구가 있었다.

1년여를 끌어온 용산 참사 해결에 한국 교회가 숨은 주역으로 꼽히고 있다. 서울시의 파트너 참여와 연내 해결, 인도적 차원의 대응 등 정부의 태도변화에 큰 역할을 한 것이다.

참사 후 345일 만에 서울시와 범대위의 용산 참사와 관련한 협상이 타결됐다. 범대위는 30일 서울 용산 남일당 참사 현장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용산참사 유가족이 정부와 협상을 사실상 타결했다”며 “1월 9일에 희생자들의 장례를 치르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상 타결에 서울시와 함께 한국교회봉사단(대표 김삼환, 단장 오정현 목사) 등 종교계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참사 후 반년이 지나도록 용산구과 범대위의 협상이 지지부진하던 때 한국교회봉사단이 나서 지난 7월부터 장례비용 및 보상비 지원 등을 놓고 대책위와 논의를 벌여왔다.

이후 8월부터 서울시가 직접 나서 용산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온 종교계 지도자들을 만나면서 협조를 구하는 등 사태 해결의 실마리가 보였다. 이 과정에서 종교계가 협상 자문회의를 구성해 양측의 대화와 타협을 유도한 것이 이번 사태 해결의 계기가 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국교회봉사단 사무총장 김종생 목사는 “용산구와 범대위 간의 협상이 진척이 없자 지난 6월부터 서울시가 파트너로 나오도록 하는 데 봉사단이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또 “7월 한달 간 유가족 보상금 지급, 상가 분양권 문제 등 구체적인 절충과 협상이 오고 갔으나 최종합의에 도달하지는 못했다”고 덧붙였다.

이후 봉사단을 비롯한 기독교계와 종교계는 정부 당국을 향해 “12월에 들어서면서 해를 넘기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하며 여론을 조성해갔다.

그러나 당국의 재개발조합과 철거민의 영업보상권을 둘러싼 사적 사안으로 보는 시각과 범대위의 불합리한 재개발 정책과 경찰의 무리한 진압에 의한 공적인 문제로 보는 시각이 충돌하면서 쉽사리 접점을 찾지 못했다.

이때 종교계는 인도적 차원의 사태해결을 거듭 촉구하며 당국을 설득했고 마침내 30일 극적으로 합의점을 찾았다.

이번 협상 타결에 대해 용산참사기독교대책위 최헌국 목사는 “금년을 넘기지 말아야한다는 것을 계속해서 서울시에 이야기했다”며 “범대위와 유가족들의 요구를 최대한 수용할 것을 요청하는 등 불교, 천주교 등 종교계가 나서서 측면 지원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아직 한국 교회의 역할이 남아있다. 합의 이행과 장례 문제 등의 과제가 남았기 때문이다. 내달 9일 장례는 기독교, 천주교 불교 등 각 종단 예식이 포함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김종생 목사는 “향후 사태가 해결되기 전까지 합의사항 이행을 위한 위원회에서 활동하면서 봉사단과 개신교의 역할을 계속 찾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운찬 총리는 30일 용산 타결과 관련해 “많이 늦어졌지만, 2009년이 가기 전에 이 문제를 매듭짓게 되어 참으로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며 “한 걸음씩 양보하여 합의한 유족과 조합의 결단과 용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써주신 종교계와 서울시의 적극적인 중재 노력에 심심한 감사를 드린다”고 말했다.

서울시와 범대위는 △정운찬 총리의 유감 표명을 통한 정부의 책임 인정 △재개발조합의 유가족 위로금 및 철거민 피해 보상, 장례비용 부담 등을 합의했다. 또 종교계 지도자 등 7명이 위원회를 구성해 합의사항 이행을 추진하기로 했다.

용산참사는 올해 초 철거민 5명과 경찰관 1명 등 6명이 목숨을 잃은 사건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